Search This Blog

Tuesday, January 31, 2012

예벤키어는 한국말하고 비슷하다

갤로거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조회수75
 
제 목   예벤키어 조선어하고 뭔가 비슷하다;;; 진짜로 ㅋㅋㅋ
 



아까전에 tv에서 한건데;;;;
툰트라의 보석 사하공화국 ?
러시아 소수민족 에벤키족 대해서 소개해주던데;;;
거기 에벤키소녀가 한류 팬이더만;;; 한국이 엄청 친근하단다;;
에벤키어 조선어하고 비슷한점이 많타네 ㅋㅋ 놀랍다;;;

에벤키어 =  아추 !
조선어 = 추워 !!

에벤키어 = 아이카 ~
조선어 = 아이구~아이쿠 ~

내생각에  삼한종족이  에벤키인이 아닐까 싶다;;;
장승문화.숫대문화도 같고... 부여계는 우리조상이 아닌것같다;;;

존나 비슷하더라....

우리언어가 짱깨처럼 바뀐이유가... 한족 문화를 너무 받아드려서 그런듯하다
신라가 그 원인일듯하다 ;;;;; 신라놈들이 한족문화를 너무 받아드리는 바람에;;; 우리 순수 언어가 살아진거임.;;
우리는 원래 에벤키언어였다;;



2012-02-01 05:45:30

0




전체댓글수7| 욕설이나 비방 댓글은 누군가에게 큰 상처로 남을 수 있습니다.
새로고침
ㅇㅇ 
그 2개?|211.195.***.***
  2012.02.01 05:45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ㄴ 에벤키인들은 일칙 고대 북쪽으로 올라간거다.. 그래서.. 우리 고대 언어조상을 찾을려면 당연히 그쪽을 찾을수밖에없지;;
  2012.02.01 05:49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smile260&logNo=10125392781
  2012.02.01 05:57 
dd 
에벤키 하플로그롭 한국이랑 완전 다르다며|116.123.***.***
  2012.02.01 05:58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ㄴ 첨에 그랬지.;; 근데 tv 보고 놀랬어 개색끼야
  2012.02.01 06:02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에벤키어 = 쟈바 우리말 잡다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에벤키어 = 아찌 우리말로 아저씨 ㅋㅋㅋㅋㅋㅋ
  2012.02.01 06:03 
Gggo [gkstkwk**(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유아어 같은건 세계적으로 다 비슷하다.. 쉿도 세계적으로 다 비슷하다.. 잡다 쟈바 별로 같아 보이지 않음.
  2012.02.01 08:38

강원도 강원 영동, 산가 지역 사람들이 대체로 피부가 검고 이목구비가 뚜렸하다.

이 름   ef조회수23
 
제 목   근데 강원도에 광대뼈 튀어나오고 그런 사람이 많긴 하지만.
 




그렇다고 눈이 특출나게 작다거나 한것같진 않은데

참고로 난 강원도 영서내륙지방 출신인데

영서 내륙 지방은 사실 강원도라고 하기엔.. 경기도 사람과 말투나 외형으로나 별 차이가 없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거든.

딱히 도드라지는 사투리도 쓰지 않고.

근데 확실히 강원 산간 지역이나 동해안 지역은 사투리부터 문화같은게 차이가 많이나.

일단 내가 들었을때 느낀점은 그쪽 사투리는 북한사투리처럼 강한 억양이 있는것같고

또한 그외함께 경상도 사투리처럼 억양이 톡쏘는듯한 직설적인 느낌이 있어. (뭐 했나~ 이런식)

쓰는 단어도 유사성이 있고..

군대 훈련소에서 만난 동기중에 경북산골에서 살다온 사투리 심하게 쓰는 친구가 있었는데

난 처음에 이 친구가 강원도 산간지역 출신인줄 알았어.. 내가 듣던 강원도 사투리랑 너무 비슷했거든.

그리고 외모적으로는 내 생각에 강원영동,산간 지역 사람들이 영서지역사람보다 대체로 피부가 검은 사람이 많고..

이목구비가 비교적 뚜렷한거 같더라.

눈이크고 작고를 떠나서 뭐랄까.. 설명은 못하겠는데 이목구비가 선이 굵고 강한 느낌이 있는거 같더라.

강원지역에서 배출한 연예인중에 원빈이나 김희철 유오성 같이 생긴 사람들..

셋다 뚜렷한 이목구비에 눈썹짙고 그렇잖아.

김희철은 영서지역출신이긴한데 횡성도 산간지대라서..
















0



위메프

헬로키티 원적외

전체댓글수7| 욕설이나 비방 댓글은 누군가에게 큰 상처로 남을 수 있습니다.
새로고침
ㅁㄴㅇㄹ 
강원도 사냐|14.41.***.***
  2012.02.01 11:56 
눈동냥이 [chdltm**(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내가 영동사람인데, ㅇㅇ;; 맞는말
  2012.02.01 12:06 
난CIS-AB형 
내가 봤을땐 강원도 사람들이 진짜 말한대로 이목구비가 크고 털이 많이난 사람들이 많더라...|70.179.***.***
  2012.02.01 12:08 
난CIS-AB형 
근데 강원도 사투리 경상도 사투리랑 똑같은거 아냐? 완전 똑같이 쓰던데...경상도에서 올라와서 그런줄알았는데...|70.179.***.***
  2012.02.01 12:09 
ㅇㅅㅇ 
o2 dna를 조심하십시오.|61.255.***.***
  2012.02.01 12:12 
눈동냥이 [chdltm**(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난혈액형/ 좀 차이는 있는데, 억양이 대체로 강하고 직설적이라는 느낌에선 같을듯. 특히 영동지방중에서 해안가 지방이 甲임 정말 말하는거 행동하는거 하나같이 강하고 억세다고 해야할까... 기가 세다고 해야할까.. 하여튼 그럼
  2012.02.01 12:12 
눈동냥이 [chdltm**(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털은 경상도 사람들이 많구, 이쪽은 잘 모르겟어
  2012.02.01 12:13

파라과이에 한국남자들이 파라과이 여자랑 낳은 자식이 많다.


1960년대 말, 우리의 맹호부대들은 베트남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월맹, 월남으로 갔다.
우린 파월 장병에 대한 노래를 불러 가며 그들을 자랑스러워 했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서 베트남 전쟁은 자국민에게도 수치심, 의구심을 불러 일으킨
미국의 자만심에 가득한 전쟁이요, 우리의 아버지, 혹은 형제들은 다만
미군의 용병으로 팔려가, 외화를 벌었고,그 전쟁으로 약간 국가 재건을 했으며,
베트남의 무고한 시민들을 살륙하기로 악명이 높은 부대였다는 걸 우린 알게 됐다.

그 전쟁의 여파는 베트남이 가장 크게 치러야 했겠지만,
그 전쟁을 다녀온 우리의 용맹스런 장수들은 밀림을 파괴하기 위해 뿌려댄
고엽제의 후유증, 전쟁의 부상으로 많은 후유증을 치르고 있다.
그리고 현재도 베트남에 남아서 천대를 받고 있는 파월 장병과 베트남 여자들
사이에서 태어난 라이 따이한들...

이들과는 상황이 다르지만, 남미에도 이런 라이 따이한들이 많다.
아마 어디서나 마찬가지겠지만, 파라과이에선 특히 이러한
라이 따이한의 아류들이 많다.
파라과이에 온 한인 이민자들 대부분은 초기에 벤데업에 종사했다.

이 벤데업은 한국식으로 말하자면 보부상인데,
아직 대형 마트의 물결이나 중국의 여러 상품들이 밀려 오기 전,
그리고 파라과이가 이따이뿌 발전소로 한창 돈이 많을 때,
보부상 형태로 유행하던 장사업의 일종이다.
교통이 불편할 뿐더러, 너무 더워서 어디 나가려고 해도 힘든
오지의 파라과이 사람들에게 가정방문하여
물건을 할부 형식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중간에 대금을 떼어 먹거나 내일 오라는 고객들,
그리고 도로에선 45도에 육박하는 더위를 참아 가며, 돌길,혹은 흙길을
달려야 하는 일로 고수익인만큼 고위험인 직종이었다.
더불어 현지 사람과 직접 상대해야 하는 이 직종으로 인해
한국인들은 정말 나쁜 사람, 독한 사람, 상종 못할 꼬레아노로 인식이 박히게 되었다.

파라과이는 문화생활이 힘든 나라이다.
파라과이 교민들이 돈을 벌었다 하면, 그 이유는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수퍼에서 일해야 하고, 돈 쓸 시간이 없다는 이유가 크다.
교민들은 주로 한국의 드라마를 비데오로 빌려 보면서 향수를 달랜다.
자신을 채울만한 시간도 없이, 한없이 소모해야 하는 것이 장사인데,
모든 문화생활은 뒤로 한 채, 이 고된 직종에 종사해야 하다보니
여자들이나 남자들이나 얼굴이 영 말이 아니게 되어 버리고,
정서적 고갈은 부부간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곤 했다.
어찌하든 돈 벌어서 고국에 금의환향하거나, 아니면 미국으로 가려는
사람들이라 파라과이 사람들에겐 돈만 벌고 뜨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가져서인지 현지인들을 무시하거나 조롱하기 일쑤이고,
나중엔 이 벤데업은 사채 놀이 비슷하게 바뀌었다.
그러다가 악명 높은 사채업자 몇이 현지인에게 타살 당하는 일도 있었다.

어쨌든, 이러한 환경 속에 신앙심으로 버티는 사람,
건실하게 사는 사람도 많았지만, 한국 돈 1천원만 줘도
쉽게 몸을 파는 현지 여자들과의 성적인 향락에 패가망신하는 사람도 많았다.
파라과이 여자들은 체구가 아담하지만 글래머가 많고
또 다리는 유난히 늘씬하고 예쁘다. 얼굴도 남미에서 제일 예쁠지 모르겠다.
그러다 보니 많은 한국남자들이 잘못된 길로 들어서 버리기 쉬웠다.

파라과이 길거리에 다니다 보면, 한국아이다 싶은데 자세히 보면
혼혈인 아이들이 있었고, 대부분 거리에 버려진 거리의 아이들이었다.
즉 물건 팔러 온 한국남자들과 현지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이다.
이들은 아버지가 누군지도 모르고, 그냥 자라다가 거리에서 구걸하며 보낸다.
이들을 돕고자 한 선교사님이 교회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버려진 라이따이한들이 지구상에 참으로 많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고, 맘이 아프다.

2012년 미스 미국 아버지가 범죄자이다.

[사진=CBS뉴스 웹사이트 캡처]

미국 최고의 미녀를 가리는 `2012 미스 아메리카` 선발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여성이 "아버지가 수감생활을 한 적이 있었다"고 당당히 밝혔다.

15 일(현지시간) 미국 CBS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14일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12 미스 아메리카 선발대회에서 위스콘신주를 대표해 참가한 로라 캐펠러(23)가 1위의 영광을 안았다. 이번 대회에서 미국 50개 주와 워싱턴DC,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등에서 온 53명의 여성들이 1위 왕관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날 캐펠러는 흰색 비키니 수영복, 붉은색 이브닝 드레스를 입고 우아한 자태를 뽐냈다. 그는 인터뷰에서 "부모가 교도소에 있어 홀로 남겨진 아이들을 위해 봉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캐 펠러는 17세 때 아버지 제프가 우편물 사기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아 18개월 동안 수감 생활을 했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그러면서 "불행을 원망하지 않았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미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해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캐펠러는 5만 달러(약 5700만원)의 장학금을 받고 올 한해 미국을 대표하는 미녀로 활동하 된다.



김진희 기자


http://www.youtube.com/watch?v=Qr1QPaOEX3w&feature=player_embedded#!


MBC 뉴스가 SBS에도 뒤지는 이유

MBC의 편파뉴스에 반발해 뉴스책임자들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는 MBC 기자들이 세간에 ‘왜 SBS보다도 뉴스가 못하냐’는 세간의 냉소가 결코 냉소가 아니라는 근거를 제시해 주목된다.

지난 6일 전영배 MBC 보도본부장과 문철호 보도국장 사퇴 촉구 성명을 낸 지 열흘을 맞고 있는 MBC 기자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발행한 특보에서 민감한 이슈에 대해 방송3사 메인뉴스 가운데 MBC가 유독 보도하지 않았지만 SBS는 대부분 리포트로 방송한 사례가 많다며 ‘SBS 뉴스가 KBS, MBC 보다 낫다’는 세간의 평가가 나오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유독 국무위원에 대한 인사검증, 반값등록금 시위로 촉발된 대학생 등록금 문제, 노동 뉴스, 대통령실장·국정원장·경기도지사 등 집권여당 인사가 난처해질 뉴스, 한미FTA 반대 목소리에 대한 뉴스들이었다. MBC 기자회는 “권력의 눈치를 살피느라, 이슈를 비켜가느라 정상적 기사 판단이 실종됐다”며 “기자들이 기사 내용을 놓고 싸워볼 여지가 적었다해도 기자들이 ‘꼭 내야 하는 기사’라면서 더 달려들었어야 했다”고 자기비판을 했다.

MBC 기자들이 조사한 사례를 보면,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에 있어 MBC는 철저히 침묵한 반면, SBS는 상대적으로 거침이 없었다. 지난해 3월 8일 고대·연대·이대 미화원이 연대 파업에 돌입한 뉴스는 SBS만 보도했고, MBC와 KBS는 침묵했다. 6월 3일 고대 의대생이 여학생을 집단 성추행했다는 소식 역시 SBS 8시뉴스에서만 볼 수 있었다. 경찰이 열흘 뒤 고대생 3명에 구속영장을 냈다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9월 3일 저녁 방송된 SBS <8뉴스>

한진중공업 사태의 경우도 6월 22일 국회 환노위에서 한진중공업을 질타하면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는 소식도 SBS 메인뉴스에서만 전파를 났다.

지난 9월 3일 고(故)전태일 열사 어머니 이소선 여사가 별세한 소식을 MBC는 아예 <뉴스데스크>에서 보도하지 않았다. 이 소식은 SBS 뿐 아니라 KBS도 보도했었다. MBC 보도국 수뇌부는 기자회장이 지적한 뒤에야 나흘 뒤 영결식을 리포트로 방송하는데 그쳤다.

반값등록금 문제도 예외가 아니었다. 지난해 9월 30일 경찰이 반값 등록금 집회에 대해 물대포를 쏘며 해산을 시도하며 49명을 연행한 사건은 SBS <8뉴스>에서 보도됐을 뿐 KBS와 MBC 9시 뉴스에선 볼 수 없었다.

이밖에도 10·26 재보선 보도, 내곡동 사저 속보, 한미FTA 반대 집회 등 MBC가 외면하면서 대중들로 하여금 ‘MBC는 편파방송’이라는 인식을 심어준 뉴스의 경우 SBS는 적극성을 보였다.

지난해 10월 2일 ‘청와대, 박원순 기업후원 순수성 언급…선거개입 논란’-MBC만 누락
10월 15일 홍준표 대표 “내곡동 사저, 대통령 만나 재검토 요구”-SBS만 보도
11월 22일 ‘한미 FTA 반대집회, 반대진영 반응’ - MBC만 누락
11월 24일 ‘경찰, 한미FTA 반대시위대에 영하 추위에 물대포…기본권 침해’ - SBS만 보도
11월 26일 ‘한미FTA 반대, 첫 전국 동시집회’ - MBC만 누락

         
지난해 11월 24일 저녁 방송된 SBS <8뉴스>

또한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몰랐다는 국정원장의 국회 답변에 대해서도 SBS만 지난해 12월 20일 <8뉴스>에서 보도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119 전화 사건에 따른 소방대원 전보 조치 역시 그달 28일 SBS에서만 보도했을 뿐 MBC는 안팎의 비판이 제기된 뒤인 다음날에야 보도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5월 있었던 장관 후보자 검증 역시 SBS는 리포트라도 했지만, MBC는 거의 외면하지 않다 시피 했다는 지적이다. 농림수산식품·환경·국토해양·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잇단 의혹(5월 16일)은 SBS에서만 소개가 됐고, 서규용 농림장관 후보자가 청문회(23일)에서 쌀 직불금 부당 수령에 사과한 것은 MBC만 보도하지 않았다. 다음날(5월 24일) 유영숙 환경장관 후보자 청문회 때 소망교회에 거액의 헌금을 냈다는 문제에 대해서도 MBC만 보도하지 않았다. 권도엽 국토부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의 다운계약서 논란(5월 26일)도 SBS <8뉴스>만 보도했다.

         
MBC 기자들이 지난 11일부터 연일 MBC 로비와 보도국에서 편파뉴스책임자 사퇴를 촉구하며 출근시위를 벌이고 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802


야구방송 MBC에서는 야구총재라는 사람이 5000억원이나 횡령한 사실이 있어도 뉴스에서다루지도 않았죠, 사학 비리 5000만원만 횡령해도 메인 뉴스로 내보내는 MBC가 말입니다. 야구와함께 썩은 MBC가 남의 비리를 보도할 자격이 있습니까?

2차대전 이탈리아 vs 일본

■인구(1939년 기준)
※세계 주요열강 7개국만 비교, 영국과 일본은 본토 인구만 산출
 
1위:소련(USSR)                                        190,000,000 (31%)
2위:미국(United States)                             132,122,000 (22%)
3위:독일(Gemany)                                     76,008,000 (13%)
4위:일본(Japan)                                         71,400,000 (12%)
5위:영국(United Kingdom)                           47,961,000 (8%)
7위:이탈리아(Italy)                                      44,223,000 (7%)
8위:프랑스(France)                                     41,600,000 (7%)
 

■군비 지출(단위: 억달러)
※프랑스는 생략
 
1위:미국(United States)                                    3380억$    
2위:독일(Gemany)                                          2930억$
3위:소련(USSR)                                              1920억$ 
4위:영국(United Kingdom)                                1250억$
5위:일본(Japan)                                                720억$  
5위:이탈리아(Italy)                                             640억$  

■철강 생산량(단위: 톤, 1939년)
 
1위:미국(United States)                                 49,380,000 (40%)
2위:독일(Gemany)                                        25,329,000 (21%)
3위:소련(USSR)                                            18,800,000 (16%)
4위:영국(United Kingdom)                              13,192,000 (11%)
5위:프랑스(France)                                         6,221,000 (5%)
6위:일본(Japan)                                             5,811,000 (5%)
7위:이탈리아(Italy)                                          2,323,000 (2%)
 

■세계 제조업 생산량 구성비(단위: %, 1938년)
 
1위:미국(United States)                                         28.7%
2위:소련(USSR)                                                    17.6%
3위:독일(Gemany)                                               14.7%
4위:영국(United Kingdom)                                       9.2%
5위:프랑스(France)                                                 4.5%
6위:일본(Japan)                                                     3.8%
7위:이탈리아(Italy)                                                  2.9%
 

■원유 생산량(1940년==>1944년)
 
1위:미국(United States)                       19,500 (78%) ==> 23,000 (81%)
2위:소련(USSR)                                   3,200 (13%) ==> 2,200 (8%)
3위:영국&프랑스(UK & F)                        1,420 (6%) ==> 2,520 (9%)
4위:독일(Gemany)                                   740 (3%) ==>610 (2%)
5위:일본(Japan)                                               30  ==>20
6위:이탈리아(Italy)                                            자료불명





물자
----------------------------------------------------------------------------------------------------
국가                 1939                1940               1941               1942              1943             1944
----------------------------------------------------------------------------------------------------
미국                 5,856(24%)     12,804(33%)    26,277(42%)    47,836(49%)     85,898(58%)   96,318(59%)
소련                10,382(42%)    10,565(28%)    15,735(25%)    25,436(26%)     34,845(24%)   40,246(25%)
영국                 7,940(32%)     15,049(39%)    20,094(32%)    23,672(25%)     26,263(18%)   26,431(16%)
----------------------------------------------------------------------------------------------------
합계                24,718             38,418           62,106            96,944             147,006         162,995    
----------------------------------------------------------------------------------------------------
독일                  8,295(65%)    10,826 (57%)  11,424(57%)    15,288 (57%)      25,094(59%)  39,275 (58%)
일본                  4,467 (35%)     4,768 (25%)   5,088 (25%)     8,861 (33%)     16,393(39%)   28,180 (42%)
이탈리아             ?                  3,257 (18%)    3,503 (18%)    2,818 (10%)          967 (2%)       -
----------------------------------------------------------------------------------------------------
합계                 12,762           18,851         20,015          26,967             42,454       67,455
----------------------------------------------------------------------------------------------------
                                                        - 2차세계대전 당시 각국의 연도별 항공기생산량-

----------------------------------------------------------------------------------------------------
국가                1940                1941                1942              1943                1944               합계
----------------------------------------------------------------------------------------------------
영국                1,399(31%)     4,841(31%)      8,611(13%)     7,476 (12%)     4,600(9%)       26,927 (13%)      
소련                2,794(62%)     6,590(43%)     24,446 (36%)  24,089 (38%)    28,693(53%)     86,612 (42%)
미국                   331(7%)      4,052(26%)     34,000(51%)   32,497 (50%)    20,565(38%)     91,445 (45%)
----------------------------------------------------------------------------------------------------
합계                4,524            15,483            67,057            64,062             53,858           204,984
----------------------------------------------------------------------------------------------------     
독일                2,200             5,200              9,300            19,800             27,300             63,800 (89%)
일본                   ?                    ?               1,290               750                 ?                  4,424 (6%)
이 탈리아             ?                    ?                  ?                   ?                   -                 3,500  (5%)          
----------------------------------------------------------------------------------------------------
합계                                                                                                                       71,714
----------------------------------------------------------------------------------------------------
                                                          - 2차세계대전 당시 각국의 연도별 전차 및 자주포 생산량 -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한국계다.

 이 름         역사의비밀조회수89
      
제 목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한국계


히데요시가 조선침략시 자신의 조국을 칠수없다며 참가군 보내지 않음

막부수립후 조선에 외교사절을 파견하여 속국으로서의 예를 다하고 양국외교관계 회복에 노력

죽을때까지 자신의 고향 조선의 태평성대를 부러워하며 롤모델로 삼아 국정을 운영함
  

IP Address : 121.139.***.***
2012-01-17 20:56:27
  
0
  
  
전체댓글수5| 욕설이나 비방 댓글은 누군가에게 큰 상처로 남을 수 있습니다.
새로고침
역사의비밀   
대표적으로 에도는 아예 한양을 모방해 만든 카피도시임|121.139.***.***
        2012.01.17 20:57   
히틀러킬러 [sisplati**(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그런데 그 에도시대가 일본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시대라는 점.
        2012.01.17 21:02   
히틀러킬러 [sisplati**(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일본 최악의 흑역사 두개는 임진왜란과 일제시대다.
        2012.01.17 21:02   
히틀러킬러 [sisplati**(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왜냐면 임진왜란은 조낸 쳐발렸고 이순신 한명을 일본이라는 국가가 쩔쩔맨 전설을 만들었고 일제시대는 겉으로 보기엔 좋아보이지만 맥아더 한사람에게 일본 정체가 무릎을 꿇었기 때문이다. 이 두개는 국가가 개인에게 머리를 숙인 거라서 흑역사인 거다.
        2012.01.17 21:03   
비너슈니첼 [lumienar**(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잘들논다 ㅋ [핡]
        2012.01.17 21:09    

투르크족이 백인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부계 하플로그룹 N은 
핀란드인의 60% 
발트3국도 3분의1은 족히되고
러시아인 4분의1인데 서브그룹의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야쿠트족의 그것과 큰 차이가 있지는 않을것 같은데...


아 참 야쿠트족은 투르크 어계임
셀주크 투르크 왕족이나 지배층 또는 그 민족이 이런 종족에 약간의 또는 그에 못지않은 코카소이드 혼혈집단이었을 가능성이 있지않나?
투르크에도 비록 소수지만 하플로그룹N, Q등이 나오잖아?
몽골족이나 만주족이나 다 상대적으로 소수집단이 정복전쟁한거고 헝가리에 몽골로이드계 아주 적어도 언어나 조상들에 대한 인식을 보면 투르크는 원래 코카소이드였다는 주장도 그리 설득력있어보이지는 않음

이민정 앞머리 있었던 시절


 이민정 앞머리 내린 사진이 공개돼 화제다.

이민정은 지난 24일 자신의 미니홈피를 통해 “앞머리 있었을 때… 난 다시 앞머리를 자라보고 싶지만 반대의견이 너무 많다… 다음 작품에 맞춰서 머리하려면 우선은 내버려둬야지… 암…”이라는 글과 함께 셀카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 속 이민정은 앞머리를 내린 뒤 뾰루룽한 표정으로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다. 특히 눈썹까지 오는 앞머리 덕분에 이민정의 큰 눈과 매칭돼 귀여움은 한층 배가된다.

이민정 앞머리 내린 사진을 접한 네티즌들은 “앞머리 있어도 예쁘고 없어도 예쁘고. 그러니 걱정마세요”, “언니는 이마가 예뻐서 앞머리 없는 게 예뻐요! 물론, 있는 것도 예쁘지만”, “앞머리 내려도 미모는 고대로”라는 반응이다.

한편 이민정이 주연을 맡은 영화 ‘원더풀 라디오’는 절찬리에 상영 중이다.



http://www.todaykorea.co.kr/news/contents.php?idxno=165701

수면은 불쾌한 기억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안된다.

끔찍한 장면을 목격하거나 전쟁이나 교통사고 등 정신적 충격이 큰 사건을 겪은 사람은 밤에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한다. 그럴 때 많은 사람들은 ‘잠이 보약이니 잠을 푹 자면 괜찮을 것'이라는 충고를 하곤 한다. 잠을 자고 나면 나쁜 기분이 가라앉고 복잡한 머리 속도 정리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불쾌한 감정은 잠을 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차라리 자지 않고 깨어 있는 것이 나쁜 기분을 없애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애머스트 매사추세츠대 레베카 스펜서 교수팀은 106명을 대상으로 기분과 수면의 관계에 대한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진은 실험참가자 82명을 ‘밤 그룹’과 ‘아침 그룹’ 둘로 나눈 다음, 전쟁 장면이나 자동차 사고처럼 부정적인 느낌의 사진과 신문을 읽고 있는 장면처럼 중립적인 느낌의 사진 60장을 보여줬다. ‘밤 그룹’에게는 사진을 잠들기 직전에 보여주고, ‘아침 그룹’에게는 자고 일어난 아침에 보여줬다.

연구진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사진을 ‘호감-비호감’, ‘차분함-흥분됨’의 기준으로 등급을 정하도록 한 뒤 밤 그룹은 자도록 하고 아침 그룹은 잠을 재우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도록 했다.

12시간이 지나 밤 그룹이 잠에서 깼을 때 연구진은 두 그룹에게 다시 사진을 보여줬다. 이번엔 기존에 있던 60장에 새로운 120장을 더해 총 180장이었다.

전에 본 사진을 구분해 낼 수 있냐는 질문에 밤 그룹은 아침 그룹보다 전에 본 사진을 더 잘 기억해 냈다. 수면이 기억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기존 학설과 맞아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사진에 대한 호감도 평가는 아침 그룹이 부정적인 느낌의 사진에 대해 불쾌한 감정이 많이 사라져 있었다. 반면 밤 그룹은 불쾌한 감정이 자기 전과 똑같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아침 그룹과 밤 그룹의 차이가 생체주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고 24명을 대상으로 다시 실험했다. 자는 그룹과 깨어있는 그룹으로 나누고 사진을 보여주는 것은 이전과 같지만 이번에는 실험을 낮에 동시에 실시하되, 수면시간을 45분으로 줄였다. 그 결과 이번에도 자고 일어난 그룹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사진 제공: 미국 메사추세츠 애머스트대

이번 결과는 기억과 마찬가지로 감정도 수면을 통해 강화되고 보호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으로, 지금까지 수면이 부정적 감정을 사라지게 만든다는 지배적 가설을 뒤집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스펜서 교수는 “인간은 사건에 대한 기억과 이로 인한 감정을 유지하도록 진화했을 것”이라며 “위험한 상황을 더 잘 기억해야 비슷한 상황에 맞닥뜨려도 유연히 대처하고 할 수 있는 것처럼,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이 잠들지 못하는 것도 만약에 있을 비슷한 상황에 대처를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뉴로사이언스’ 최신호에 실렸다.

김윤미 기자 ymkim@donga.com



http://news.dongascience.com/PHP/NewsView.php?kisaid=20120124200002273858

일본인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한류 댓글 반응보기

일본 야후재팬의 (해외)중국 색션에 올라온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한류의 실체입니다.(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참고로 한국이 중국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한테도 열라게 까이고 있어요. 한국이 너무 바보취급 당해서 불쌍해서 눈물이 날 지경...ㅠ_ㅜ)


■東方神起以降、韓流は終わってない?本物の実力を備えた人材がどれほどいるのかな?
→ 동방신기 이후, 한류는 끝났잖아? (겉모습이 아닌)진짜로 실력있는 인재가 어느 정도 있는 걸까나?

■いずれにせよ、メイド・イン・コリアという名のごみの山は、俺は買わないな。
→ 어차피 말이야, 나는 '메이드인 코리아'라는 이름이 들어간 똥구린 제품은 사지않으니까.

■韓流ブームは確かに存在するよ。でも、どうしてだろうどれもこれもチャラチャラして安っぽい気がするのは。
→ 한류붐은 확실이 있긴 있어. 근데, 뭐랄까 (한류라면)뭐든 왠지 주접스러운게 뭔가 싼티가 난달까.

■韓流ファッションにコスメ、韓流ドラマどれも必要ないな。だって、何でも見かけ倒しって感じを受けるから。
→ 한류패션에다가 화장품, 한류드라마 어느 것도 필요 없다구. 왜냐, (한류라면)뭐든지 겉보기만 번드르르하지, 실속이 없다는 느낌을 받으니까.

■最近の韓流タレントはどれも同じに見えて見分けがつかない。
→ 최근 한류 탤런트는 누구라도 똑같아 보여서 분간이 안가.

■韓流ってどうせ米国の猿まねだもん。
→ 한류란게 어차피 미국을 원숭이 처럼 따라한 거라구.

■整形まみれなのがとにかくキライ。顔も髪型も服装も欧米のまねっ子なの?劣等感の塊なんだね。
→ 성형수술 투성이인 것이 아무튼 (한류스타는)싫다. 얼굴도,머리 모양도,복장도 전부 서양 것 베낀거잖아? (한류란 것은)열등감 덩어리라구.


기사주소 → http://headlines.yahoo.co.jp/hl?a=20120114-00000006-rcdc-cn

============================================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서 한류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야후재팬에서 기사로 보낸 것들입니다.
(참고로, 소개된 댓글들을 몇개만 추스려서, 가능한한 자연스럽게 제가 집적 번역했습니다. 번역기 아님.)

이 기사로 일본인들 한테도 지금 댓글이 800개가 달렸습니다.

작년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 제일 잘나갔던 동방신기가 16위, KARA가 고작 25위, 소녀시대가 46위였습니다.


*많이 본 기사*

세계 살인마 순위(1911~2012)
근친상간 아빠가 큰딸에게 엄마랑 이혼할테니 우리 아이 낳고 같이 살자
2011-2012 미국 드라마 시청률 순위
우리나라의 신라 성씨와 성씨 인구 순위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생물 TOP10
2011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종합순위
강릉 무장공비 사건 당시 참혹상
우리나라 가수 가창력 순위
아직도 스페어 타이어 달고 다니세요?
LA폭동 미국의 백인 흑인들의 심각한 한국인(동양인) 인종차별

↓아래에 보시면 유용한 정보들이 많습니다, 한번 둘러 보세요^-^; 가쉽거리 빼고는 유용하고 신기한 정보를 제 블로그에 올리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신기하고 유용한 정보들을 읽어보세요.

해외영주권자 자원입대 급증


굳이 군 복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해외 영주권자들의 자원 입대가 급증하고 있다. 올 3월 입대 예정자들까지 포함하면 누적 인원 1100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일부 고위층 자녀나 연예인들의 병역 기피 분위기가 강한 현실에서 귀감이 되고 있다.


24일 병무청에 따르면 자진 입영한 해외 영주권자들은 2004년 ‘영주권자 입영희망원 출원제도’ 시행 첫해인 2004년 38명, 2006년 82명, 2009년 160명, 2011년 221명 등 해마다 늘어 모두 1065명에 이른다. 올 첫 입대(3월 12일 입영)자는 50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중3 때인 2001년 캐나다로 이민을 간 남경민(왼쪽·28)씨는 2006년 영주권을 취득해 사실상 병역을 면제받았다. 그러나 4년 만인 지난 5일 귀국, 병무청에 육군 자원입대를 신청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UBC) 경영학과를 졸업한 남씨는 최근 일본의 한 무역업체로부터 취업 제의를 받았다. 하지만 그는 “병역이라는 자랑스러운 권리를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고 싶었다.”고 입대 이유를 밝혔다. 한국인의 자긍심을 위해 ‘영어 이름’도 만들지 않았다는 남씨는 “전방 근무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국 영주권자인 구교욱(오른쪽·22)씨도 입대 행렬에 동참했다. 2005년 미국으로 건너간 구씨는 워싱턴대 생화학과 2학년을 마친 뒤 휴학하고 최근 모국을 찾았다. 구씨는 “영주권을 갖고 군대를 기피하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안타까웠다.”면서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의 도발 위협이 커진 상황에서 조국 수호에 작은 힘을 보탤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125010014&cp=seoul

DJ 노벨상에 눈멀어 김정일에 뇌물

김대중 전 대통령이 거액의 대북송금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김기삼(49) 전 국가정보원 직원이 최근 미국에서 최종 망명승인을 받으면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그의 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김 씨는 지난 2010년 '김대중과 대한민국을 말한다'(비봉출판사)라는 책을 통해 "국정원 직원이라면 비밀을 무덤 속까지 가져가야 하겠지만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에 눈이 멀어 민족을 배반하는 장면을 목격했다"면서 "나의 양심상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김대중이 '그토록 어처구니 없는 대북 정책을 오랫동안 일관되게 잘못 추진한' 근본 이유는 노벨평화상에 대한 지독한 노욕(老慾)때문"이라며 "노벨평화상을 수상할 목적으로 국정원을 동원해 해외공작을 진행하는 한편, 김정일에게는 약 2조원(15억달러 상당)에 달하는 뇌물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김 전 대통령이 1999년 7월 '필라델피아 자유의 메달'을 수상하면서 남북관계에 획기적인 돌파구만 마련되면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1999년 말, 온 세상이 새천년의 기대에 한창 들떠 있을 즈음, 김대중과 김정일은 극비리에 뇌물 뒷거래 협상을 마무리지었다"며 "북한에 제공하기로 한 뒷돈은 미화로 15억 달러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 전 대통령의 공보비서 출신인 김한정이란 인물이 국정원 대외협력보좌관실에서 ▲휴전선에서 '평화 음악회' 개최 ▲스웨덴과 노르웨이 현지에서 공금을 들여 김대중의 인생 역정을 미화한 전기 발간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1993년 노벨 평화상) 방한(訪韓) 등을 추진했다며, 국정원이 동원된 정황을 설명했다.

김 씨는 또 "북한은 (남한으로부터 받은) 돈을 고폭장치 등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핵심 물자를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지에서 구입했다"며 "북한은 현금을 챙기고 남북정상회담 등 위장된 평화에 호응해 줌으로써 김대중이 노벨평화상을 받도록 도왔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씨는 국정원 재직 중 김대중 정권의 노벨상 수상 공작과 남북정상회담의 추진 과정 및 그 후속 과정 등을 지켜보면서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분노를 느꼈다고 한다. 퇴직 후 암살의 위험을 느낀 그는 미국으로 몸을 피했고, 망명을 신청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지난 2008년 4월 열린 1심에서도 미국 망명을 허용받았지만 미국 검찰이 항소하면서 3년 가까이 재판이 이어져 오다 지난해 말 최종 망명이 승인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국정원 간부 출신 인사는 "국정원 출신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이런 사안을 두고 허위로 증언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특히 미국에서 망명 신청이 승인되는 과정에서 김 씨의 증언 내용도 함께 미국측에서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2/01/117_103382.html

the former korean president kim daejoon paid the money to kim jong-il for the nobel prize

S. Korean ex-spy's asylum confirmed in US

A U.S. court has upheld a 2008 ruling to grant political asylum to a former South Korean intelligence agent who claims to face threats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 sources here said Tuesday.

Kim Ki-sam, who left South Korea's state spy agency in 2000, applied for asylum in the U.S. in 2003, saying he would face persecution and prosecution if he was forced to return to South Korea because he had revealed information about secret operations to help then-President Kim Dae-jung win the Nobel Peace Prize.

One of those operations was the transfer of a $500 million "bribe" to North Korea that led to a historic inter-Korean summit, Kim said.
He claimed that he was facing threats from North Korea as well.

The immigration court in Pennsylvania approved his asylum bid in 2008 but prosecutors lodged an appeal.

An appellate court in Philadelphia, however, confirmed the previous ruling late last month, the sources said.

Kim, 49, resides in Harrisburg, Pennsylvania, and has passed the bar exam in New York State, according to the sources. (Yonhap)

http://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2/01/117_103382.html

침략자, 동남아 인종을 격퇴시킨 진한, 신라의 위엄.

이 름   혁신한국조회수55
 
제 목   침략자, 동남아 인종을 격퇴시킨 진한, 신라의 위엄.
 



백제라고 하는 국가가 있었다. 3세기에 출현을 하는데 우두머리는 구태라고 하는 사람이다. 인종은 동남아 인종이다. 전라도에서 북진하여 마한을 정벌하였는데 마한 정복후에 세운 나라가 백제다. 동남아 인종의 왕이 황인종들을 종으로 부린다.

이에 대항하는 무리가 있었다. 백인들이다. 원한반도의 지배자들이다. 3천년전부터 이들이 있었다.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 고분군에서 100여기가 넘는 백인들의 고인골이 이를 증명을 한다. 이들은 동남아 인종에 쫓겨난다.

신라로 들어온 이들은 다시 한번 동남아 인종과 치열하게 싸운다. 그리고 마침내 이들을 물리친다. 백인의 유전자가 결국은 동남아 인종을 물리친다.


한국 여성들은 백인들을 보면 벌렁거린다. 과거부터 백인과 관게를 맺는 것이 이들에겐 신분 상승의 첩경이었기 때문에 내려져 온 뿌리깊은 문화요, 인식이었다. 그랬다. 이것이 역사인 것이다.

미국 달라스에서 일어난 한국인과 흑인의 갈등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흑인 주민들 사이에 반한 감정이 고조되면서 한인 동포사회가 긴장감에 휩싸이고 있다.

한인의 인종 관련 발언에 자극받은 현지 흑인사회가 흑인 인권단체들의 후원 아래 한인업소 불매운동 등 집단행동에 나선 가운데 경찰 당국도 폭력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지난달 9일 댈러스 남부 흑인 밀집 거주 지역에서 주유소를 운영하는 한인 업주 박모씨와 흑인 목사인 제프리 무하마드씨 간의 사소한 시비가 발단이 됐다.

28일(현지시간) 현지 언론과 한인사회에 따르면 박씨 업소의 휘발유 가격이 인근 주유소보다 비싸고 10달러 이하 결제 시 직불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 항의하는 무하마드씨에게 박씨가 "다른 데 가라"고 대꾸하면서 언쟁이 시작됐다.

화가 난 무하마드씨가 "당신이나 당신 나라로 가라"고 받아치자 박씨는 "그럼 당신은 아프리카로 가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에 무하마드씨는 흑인 주민들을 규합해 주유소 앞에 모여 "Don't shop"(여기서 물건 사지 마세요)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항의시위를 벌이며 영업을 방해했다.

주민들은 주유소 내 편의점으로 들어가는 고객들에게 박씨가 "N자(검둥이) 등 인종 비하 발언을 했다", "(흑인) 여성들의 가방을 뒤지고 때렸다", "물건을 훔쳤다며 사람을 죽였다"고 쓰인 전단지도 돌렸다.

결국 박씨의 신고를 받은 경찰이 강제 해산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시위대 일부가 다치자 주민들은 시청으로 몰려가 강력히 항의하는 등 소란이 빚어졌다.

시위대는 또 지역 언론사에 인종차별을 당했다며 보도를 요청하는 한편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권단체 중 하나인 전미유색인종발전협회(NAACP)와 흑인계 이슬람 단체인 `네이션 오브 이슬람(NOI)'에 사건을 신고하고 대응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에 한인 업소 주인이 흑인을 차별하고 비하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올리고 있다.

최근부터는 "탐욕스러운 한국인은 물론이고 모든 아시아 출신 이민자들은 미국을 떠나라"며 아시안 추방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흑인 주민들 사이에 반한 감정이 심화됨에 따라 댈러스 경찰은 마틴 루터 킹 목사 탄생기념일인 지난 16일 축하 퍼레이드에 참가한 흑인들이 박씨의 주유소를 지나치는 과정에서 폭력사태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폭동진압에 동원되는 경찰 병력을 배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미주 동포사회 지도층이 NAACP 등 유력 흑인 단체들을 상대로 대화를 통한 반발 무마를 모색하고 나섰다.

미국 동포사회를 대표하는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유진철 회장은 이날 NAACP 지도급 인사와 접촉해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유 회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사안은 개인 대 개인의 문제로 인종 갈등으로 몰고 가선 안된다고 말했다"고 전하고 조만간 흑인 지도층과 만날 계획이라 밝혔다.

댈러스를 담당하는 휴스턴총영사관 관계자는 "사소한 문제가 큰 문제로 비화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댈러스 흑인사회의 반한 감정이 위험수위에 이른 데다 주유소 불매운동이 반 아시아 감정으로 확산된 상황이어서 사태가 쉽사리 풀릴지는 미지수다.

jahn@yna.co.kr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0&oid=001&aid=0005486208

레알 스페인 애들이 운동 잘하는거 같다.

축구 도 1등
테니스도 1등
F1 도 1등

6시간 대혈전 조코비치, 나달 꺾고 호주오픈 2연패

남자 테니스 세계 1위 노박 조코비치(25.세르비아)가 라이벌 라파엘 나달(25.세계 2위.스페인)을 극적으로 누르고 호주오픈 2연패를 이뤘다.

조코비치는 29일(이하 한국시간) 호주 멜버른 로드레이버 아레나에서 열린 2012 호주오픈 남자단식 결승전에서 나달과 엄청난 승부를 펼친 끝에 세트스코어 3-2(5-7 6-4 6-2 6-7(5-7) 7-5)로 승리했다.

이로써 조코비치는 나달을 상대로 7연승 행진을 이어가면서 호주오픈 2연패를 달성했다. 개인 통산 다섯 번째 메이저대회 우승인 동시에 2008, 2011년에 이어 호주오픈에서만 세 번째 우승이다.

특히 준결승전에서 앤디 머레이(세계 4위.영국)와 5시간에 가까운 혈전을 치른 뒤 불과 하루 휴식 후 6시간 승부 끝에 이겼다는 점에서 기쁨이 더할 수밖에 없었다. 우승상금은 230만 호주 달러(약 26억원)다.

반면 나달은 혼신의 힘을 다해 조코비치와 상대했지만 끝내 우승 문턱에서 좌절하고 말았다. 통산 11번째 메이저 대회 우승도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

6 시간에 육박하는 대혈전 끝에 희비가 엇갈렸다. 1세트는 나달이 팽팽한 접전 끝에 먼저 따냈다. 나달은 1세트에서 두 번이나 서브게임을 내주면서 4-5로 경기를 내줄 위기에 몰렸다. 하지만 이후 무서운 집중력으로 내리 세 세트를 따내 극적으로 첫 세트를 가져왔다.

2, 3세트는 조코비치가 압도했다. 조코비치는 2세트 1-0으로 앞선 상황에서 내리 세 게임을 따내면서 일찌감치 승부를 갈랐다. 조코비치의 정교한 좌우 공격에 발이 빠른 나달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다.

조코비치는 2세트에 이어 3세트까지 6-2로 가져와 승리를 눈앞에 둔 듯 했다. 하지만 나달은 4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 끝에 승리를 거두면서 힘겹게 5세트로 승부를 이어갔다.

결국 두 테니스 영웅의 운명은 마지막 5세트에서 가져갔다. 조코비치와 나달은 체력이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황에서도 자기 서브게임을 지키면서 긴장감을 이어갔다.

하지만 나달은 3-2로 앞선 상황에서 조코비치의 서브게임을 극적으로 브레이크해 결정적인 기회를 잡았다. 30-30에서 조코비치가 날린 회심의 포어핸드 스트로크가 살짝 라인을 벗어나면서 흐름이 나달에게로 넘어갔다.

그렇지만 조코비치도 그냥 물러서지 않았다. 2-4로 몰린 조코비치는 나달의 서브게임을 반격하면서 추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내친김에 조코비치는 자기 서브게임을 지켜 4-4 동점을 만들었다.

결국 마지막에 웃은 쪽은 조코비치였다. 조코비치는 5-5 동점에서 11번째 나달의 서브게임을 듀스끝에 브레이크해 승리를 눈앞에 뒀다. 나달의 백핸드를 집중 공략한 조코비치의 집념이 돋보였다.

결 정적인 기회를 잡은 조코비치는 12번째 자신의 서브게임까지 따내면서 6시간에 걸친 대혈전에서 마침내 웃을 수 있었다. 물론 마지막까지도 안심할 수 없었다. 브레이크 포인트에 몰리면서 기회를 놓치는 듯 했다. 하지만 끝내 마지막까지 집중력을 놓치 않은 조코비치는 끝내 듀스끝에 나달을 누르고 우승을 확정지었다.

마지막 스매싱이 들어가는 순간 조코비치는 코트에 큰 대자로 드러누어 기쁨을 만끽했다. 반면 아쉽게 경기를 내준 나달의 얼굴에는 아쉬움의 그늘이 가득했다.

이날 경기 시간은 5시간 53분으로 공식 기록됐다. 이는 2009년 나달과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세계24위, 스페인)의 준결승에서 나온 호주오픈 한 경기 최장시간 기록(5시간14분)을 훨씬 뛰어넘는 신기록이다.

이석무 (sports@edaily.co.kr)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2551408

2012년 호주오픈 테니스 경기준 바퀴벌레를 손으로 때려잡은 볼걸


▲ 2012 호주오픈테니스대회에서 화제가 된 볼 걸(Ball Girl) 앨리슨 /
유로스포츠 중계 영상 캡처.
[스포츠서울닷컴ㅣ김용일 기자] '바퀴벌레 잡은 미녀 볼 걸?'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의 우승으로 막을 내린 2012 호주오픈테니스대회 남자단식. 이번 대회에서는 또 한 명의 깜짝 스타가 탄생했다. 다름아닌 '볼 걸(Ball Girl)'로 활약한 앨리슨이다.
그는 세드릭 마르셀 스테베(독일)와 레이튼 휴이트(호주)의 맞대결에서 볼 걸로 나섰다. 그런데 경기 중 스테베 코트에서 커다란 바퀴벌레가 등장했고, 스테베는 경기에 방해가 된다며 볼 걸에게 바퀴벌레를 코트 밖으로 보내라고 지시했다. 앨리슨은 황급히 코트 안으로 뛰어와 바퀴벌레를 잡으려 애썼다. 이 모습을 지켜본 관중들은 하나 둘씩 웃기 시작했다. 결국 앨리슨이 한 손으로 바퀴벌레를 쥔 채 허둥지둥 코트를 빠져나가자 장내는 웃음바다가 됐다. 스테베는 앨리슨을 향해 멋쩍게 웃으며 미안해했다.
이후 중계 카메라는 임무(?)를 마치고 제 자리에 서 있던 앨리슨을 잡았다. 그러자 장내는 큰 박수 소리가 터져나왔다. 앨리슨은 수줍은 듯 고개를 숙인 채 웃었다. 경기 후 그는 일약 화제가 됐다. '바퀴벌레를 잡은 미녀 볼 걸'로 유명세를 치르고 있다. 그는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평소 벌레를 무서워하고 절대 만지지 않는다"며 경기 중 바퀴벌레를 잡은 것은 책임감에서 우러나온 용기 있는 행동이었다고 고백했다.
냉혹한 승부의 세계가 연출되는 테니스 코트에서 앨리슨의 깜짝 행동은 잠시나마 긴장감을 녹이기에 충분했다.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107279

19세기 일본의 기생 vs 조선의 기생 어느쪽이 더 예쁜가?

위가 조선의 기생사진이고 아래가 일본의 기생사진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느 나라의 기생이더 예쁜가요?

정부 페이스북 검열해서 글지워라 논란

앞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글을 잘못 올렸다간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자진 삭제 명령을 받게될 것으로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방통심의위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일부 불법ㆍ유해 정보 시정요구 개선안'이 의결됨에 따라 SNS에 대한 '접속차단' 전에 이용자에게 경고와 함께 자진 삭제를 권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방통심의위의 접속차단이 결정되면 해당 SNS 계정 소유자에게 트윗을 보내 해당 글이 왜 불법인지를 알리고 삭제하지 않을 경우 계정을 차단시킨다는 경고를 한다.

이후 만 하루 안에 해당 글이 삭제되지 않으면 ISP에 해당 계정에 대한 접속차단을 요구한다.

특히 전체 게시글의 90% 이상이 위법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없이 바로 접속차단 시정요구를 집행한다.

방통심의위는 온라인상 불법 정보에 대해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게 삭제, 이용 해지, 접속차단 등의 시정요구를 할 수 있다. 이 중 접속차단은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해외 서비스의 불법정보에 대해 내려지는 조치다.

계정 접속이 차단될 경우 불법성 없는 정보도 함께 접속이 막히게 돼 과잉 처분이라는 지적이 있어왔다.

한편 네티즌들은 "세계인이 하는 SNS를 어떻게 검열하겠다는 건지 말이 안나온다", "이러다 문자까지 차단하겠다", "재갈을 물리겠다는 속셈이다" 등 반발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on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http://news.fnnews.com/view_news/2012/01/29/201201300100242480011612.html

미국에서 성공한 친일 기업인 2. 오라클 회장 래리 엘리슨

1200달러를 투자해 세계 최대 갑부 반열에 오른 래리 엘리슨(Larry Ellison) 오라클 회장. 그는 유달리 승부욕이 강해 어떤 경쟁에서도 지지 않으려는 성격 때문에 `실리콘밸리의 사무라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래리 엘리슨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반독점 소송에서 MS를 옹호한 독립단체들이 사실은 MS로부터 돈을 지원받았다는 사실을 폭로하기 위해 사설탐정을 고용, 쓰레기통까지 뒤지게 했다는 사실은 그의 강한 승부욕을 보여주는 일화다.

`사무라이'라는 별명은 그의 일본 취향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샌프란시스코 금문교가 보이는 곳에 지어진 그의 저택은 5000개의 조명시설과 일본식 정원과 가구들로 유명하다. 그가 아끼는 요트의 이름도 `사꾸라'이다.

래 리 엘리슨은 자수성가한 인물로, 화려한 생활과 여성 스캔들, 거침없는 행동으로 인해 `실리콘밸리의 악동'으로 불리기도 한다. 언론이나 대중 앞에서 거침없이 내뱉는 말투로 `독설가'라는 수식어도 항상 그를 따라 다닌다. 9.11 테러 이후 래리 엘리슨은 미국내 신분증 발급을 위한 소프트웨어(SW)를 제공하겠다고 나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시민단체가 뽑은 `최악의 기업인'으로 선정되는 등 튀는 언행으로 언론에 자주하는 등장하는 대표적인 CEO중 한 명이다.


래리 앨리슨 오라클 회장이 소유하고 있는 메가요트 '라이징 선'
일본을 좋아해 자신의 요트에 ‘사쿠라’라는 이름을 지어줬기도 했고, 샌프란시스코 금문교가 보이는 지역에 1억달러를 들여 건설한 그의 저택은 일본식 정원과 가구들로 유명하다.


일본을 좋아했던 스티브잡스


잡스와 일본을 연결시킨 "선(禅)"



잡스와 일본 최초의 접점은 선(禅)이었다. 그는 태어나자마자 양자로 입양되어 어려서부터 자기 자신 찾기 등 여러가지의 것을 시도했다. 인도로 수행을 다녀온 시기도 있었다.



그런 그가 최후로 도착한 곳은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선센터였다. 지도자는 니가타(新潟)현 카모(加茂)시 출신의 조동종(曹洞宗, 선종계통의 일본불교)의 오토가와코분(乙川弘文)이라 불리는 승려였고, 잡스는 그를 스승으로 따랐다.



1985 년 창업했던 잡스의 회사 중 넥스트는 오토가와를 정신적 고문으로 맞이했었고, 잡스 자신의 결혼식에도 오토가와를 초대하였다. 젊은 시절, 아직 영어가 서툴렀던 오토가와에게 잡스는 열심히 사물의 진리와 본질에 대해 심오한 질문을 했다고 한다.



잡스는 그 후에도 조동종에게 강하게 매료되어 후쿠이(福井)현의 에이헤이지(永平寺)에 출가하려 했던 적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잡스의 철학과 미의식에는 이러한 "선"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듯 하다.



예 를 들어 잡스가 만년에 스탠포드 대학교 졸업생을 상대로 했던 연설을 보면 그는 매일 "오늘이 생애 마지막 날이라면"이라는 질문을 던진다고 했다. 때로는 냉철하게 중요한 결단을 내렸다고는 말하지만, 이런 사고방식 또한 선문답으로 통하는 면이 있다.



또한 잡스는 "단순한 것이야말로 최고의 세련"을 신조로 내걸고, 불필요한 장식을 없앤 본질적이고도 단순한 것을 좋아했었다. 이러한 미의식은 독일 바우하우스의 영향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으나, 일본의 선의 미학과도 통한다.


잡 스가 계속 영향을 받았던 곳은 가전메이커인 소니다. 특히 공동창업자인 모리타아키오를 존경했던 것으로 잘 알려진 잡스는 사망하기 12년 전에 열린 신제품발표회에서 그 직전에 사망했던 모리타를 추모했다. 트랜지스터 라디오와 트리니트론 텔레비전과 같은 다수의 소니제품에 흥분했다는 일화를 전해주면서 발표할 제품도 모리타가 기뻐하여 갖고싶어할 것이리라 말했었다.

일본기업으로부터 배우고 경쟁하다

잡 스의 트레이드마크인 청바지와 검정색 이세이미야케(イッセイ・ミヤケ) 터틀넥의 모습도 소니 공장 종업원 제복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한다. 공장 안내를 해준 모리타에게 잡스는 어째서 종업원이 같은 옷을 입고 있는지 물어봤고, 모리타는 전쟁 이후 옷이 없었기 때문에 회사 측에서 옷을 지급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해줬었다.



여기서 감명을 받은 잡스는 애플도 사원에게 제복을 입히려 했으나 사내의 맹렬한 반대가 있어서 잡스 자신만 수백벌의 제복을 주문했다. 그것이 바로 이세이미야케의 셔츠였다.



잡 스는 에후에도 이데이노부유키(出井伸之)가 대표이사를 떠날 때까지도 소니와 깊은 관계를 유지해서, 당시 사장이었던 안도쿠니타케(安藤国威)를 제품발표 단상에 초대한 적도 있었다. 잡스는 개인적으로도 소니의 중역과 콘서트에 가거나 일식을 먹으러 가거나 했었다. 일본을 방문했을 때 소니를 갑자기 방문하여 신제품에 대해 아이디어와 평가를 듣는 일도 있었고, 소니의 직영점 사업에 대해 열심히 배운 적도 있었다고 한다.



잡 스와 관계가 강했던 또다른 일본 기업으로는 알프스전기(アルプス電気)가 있다. 알프스전기는 초기의 개인용 컴퓨터 제품에서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공급업체였다. 애플에서 공장을 방문하기도 하고 알프스 직원을 애플로 불러서 조언을 주기도 했었던 잡스는 스스로가 알프스 공장에서 강연에 나서기도 한 적이 있었다. 알프스전기로부터는 공장자동화에 대해 열심히 배웠던 것 같다.



일본 장인정신을 사랑했던 잡스



잡스와 일본과의 교제는 이런 사업가적인 관계로만 그치지 않았다.



그는 일본의 라이프스타일과 미의식에도 큰 관심을 계속 보였다. 2000년에 발표한 아이맥 모델인 스노화이트(Snow White)는 친구인 오라클사 창업자, 래리 엘리슨 자택의 다다미방 색상에 맞춰서 디자인했다고 한다.



잡스는 소파 하나를 살 때에도 7년간 토론을 했었고, 세탁기 한 대 구입을 위해서도 수개월간 저녁식사 때마다 토론을 했을 정도로 선택에 있어서 엄격한 인물이었지만, 일본 장인에 대해서는 각별한 존경심을 갖고 있었다.



앞 에서도 언급한 의상 디자이너, 미야케이세이(三宅一生)와는 모리타아키오 회장의 소개로 인해 여러번 만난 적이 있었다. 잡스 스스로가 자기용으로 이세이미야케 옷을 같은 모델로 수 백벌 구입한 것도 있었고, 긴 조사 끝에 겨우 발견한 친동생(소설가 모나 심슨)에게 처음으로 선물해준 옷도 이세이미야케의 옷이었다.



잡 스는 토야마(富山)현의 다테야마(立山) 마을, 엣츄(越中) 도자기(세토야키(瀬戸焼))의 도예가인 샤쿠나가유키오(釈永由紀夫)와도 친분이 있었다. 90년대 중순, 잡스가 좋아하고 자주 방문했던 교토(京都)의 갤러리에서 보고 난 후 마음에 들어 3일간 계속 여러 작품을 구입, 그 후 전화와 팩스로도 다수의 작품을 주문했던 인물이 잡스였다.



잡스가 교토를 개인방문했을 때 묵었던 곳으로는 타와라야 료칸(俵屋旅館)이 있다.



병을 앓고 있던 만년에도 잡스는 장남과 딸을 데리고 수 차례 교토의 사원을 순례했다. 특히 그가 즐겨 찾던 곳은 선종의 일파인 임제종(臨済宗)의 사이호지(西芳寺, 코케데라(苔寺)라고도 불린다)였다고 한다.



일식을 사랑했던 잡스가 마지막으로 놓고 간 선물



소바와 스시도 잡스가 애호했던 대상이었다. 젊은 시절 과식주의자(과일만 먹음)로서 그 후에도 엄격하게 채식주의를 이어갔던 잡스였지만, 일본식만은 특별취급했다.



좋아하는 소바를 먹기 위해 잡스는 애플 구내식당, "카페 맥"의 조리사를 츠키지(築地) 소바아카데미로 보내 조리법을 배우도록 시킬 정도였다. 게다가 스스로 고안한 "사사미소바(刺身そば)"라는 메뉴도 생겨났다.



한 편 잡스는 실리콘밸리의 스시 식당, 진쇼(陣匠)와 스시 및 카이세키(懐石, 차를 권하기 전에 먹는 간단한 음식) 전문 식당인 케이게츠(桂月)를 자주 방문했었다. 비밀주의를 엄수하는 잡스였지만 개발전 제품을 반입하는 일 이야기를 하는 것도 들을 수 있었고 임종할 때 사원들과 작별파티도 그곳에서 개최했다고 한다.



유 명인이라 해도 잡스는 특별취급을 받으려 하지 않기 위해 케이게츠에 예약을 하지도 않고 스시를 주문한 다음 사들고 나가기도 했다고 한다. 잡스가 좋아했던 종류는 다랑어뱃살(中トロ)과 연어(サーモン), 새끼방어(ハマチ), 송어(ウミマス), 도미(タイ), 고등어(サバ), 붕장어(穴子)였다. 케이게츠에서는 딸과 같이 들어와 둘이서 붕장어 스시를 10접시 먹은 적도 있다고 한다.



단 암 증상이 심해진 2011년 7월에는 진쇼에서 시킨 여덟 접시 어느 것에도 손을 못 댔다고 한다. 그래서 냄비우동을 주문하여 필사적으로 먹으려 노력했지만 결국 손을 못대고 바라보기만 했다고도 전해진다.



잡 스는 유감스럽게도 2011년 10월5일에 사망했다. 사실 이날은 케이게츠가 식당 문닫기 이틀 전이었다. 같은 해 케이게츠는 식당매각으로 인하여 문을 닫기로 돼 있었다. 그것을 알고 있던 잡스는 죽기 전, 식당 경영자이자 요리사였던 사쿠마토시오(佐久間俊雄)에게 다음 사업장을 제안하고 있었다. 잡스의 제안을 받아들인 사쿠마는 잡스가 사망한 후 애플사 사원식당에 잡스가 좋아했던 메뉴를 만들기 시작했다. 애플사와 일본을 계속 사랑한 잡스와 같은 사원들에게 잡스가 남긴 마지막 선물이랄 수 있겠다.


1920년대 조선 최고 미녀 자매의 슬픈 이야기




동생 : 일본 유학가는 꿈 이룰려다가 유부남에게 낚여서 임신-낙태

언니 : 인천 미곡장에서 돈을 번 부자가 서울시내 여학교를 뒤져서 결혼 상대로 뽑은 최고의 미녀
결혼하고 거짓말처럼 남편이 몇 년 안에 파산함
나중에 유명한 의사 집에 후처로 들어갔음

금식을 하거나 음식을 적게 먹으면 여드름이 낫는다.

갤로거         원투원투쨉 [qwer12**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조회수11
       
제 목         여드름 하고 음식하고 관련이 있나요? 다음 요즘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싸이월드 C로그    
       
   


6년 네네 여드름을 달고 사는 사람입니다. 무슨짓을 하도 안없어지는 여드름이 한 2틀간 아무것도 안먹으니 다소 사라지더군요 . 여드름이 음식과 상관있읍니까? 참고로 기름진 음식을 덜먹어도 났었습니다.

전두환 경호 과잉보호논란, 박원순 서울 시장 전두환 경호 철수 고려

박원순 서울시장이 전두환씨(전 대통령)의 사저를 지키는 전경과 경호원들이 쓰는 경호동에 대해 폐쇄해달라는 시민 의견을 받고 폐쇄여부가 가능한지를 확인해보라고 지시했다고 밝혀 주목된다.
현재 이 부지는 서울시가 소유하고 있으며, 경찰청이 전씨 경호를 위해 오는 4월까지 서울시에 무상임대해서 사용중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가 이 부지를 환수하는 결정을 내리게 되면 최근의 과잉경호라는 비판을 받아온 전두환씨 사저 경호원들의 행태에 적잖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얻고 있다.
특히 전씨 사저를 경호하는 경찰이 ‘독재자 전두환의 사과를 받으러 왔다’며 매주 전씨 사저에 방문하고 있는 이상호 MBC 기자를 최근 강제로 수갑을 채워 체포하는 등 과도한 경호가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닉네임 ‘bestgosu90’를 쓰는 한 시민이 박 시장 트위터에 “연희동 전두환 사저를 지키는 전경들의 초소와 경호원들이 사용하는 경호동을 폐쇄해 주실수 없느냐”는 의견을 내자 29일 새벽 “이미 확인해보라 했습니다”라고 밝혔다.

   
전두환 전 대통령.
©CBS노컷뉴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사저 경호 부지가 서울시 소유로 돼있고, 올해 4월까지가 무상임대 기간이라는 점을 고려해 △향후에도 무상임대를 연장할지 △유상임대로 전환할지 △부지를 환수할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언론담당관은 29일 저녁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전직 대통령 경호는 퇴임 10년은 경호처가, 이후 10년은 경찰청이 관할하는데, 현재 서울시가 소유하고 있는 연희동 뒤쪽(북서쪽)에 있는 부지는 경찰청의 요청에 의해 무상임대해줘왔다”며 “지난 2008년부터 무상임대해줬고, 올해 4월에 만료된다”고 밝혔다.
윤 담당관은 “2008년 이전에도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별한 하자가 없는 한’ (무상임대를) 해줘온 것 아닌가 한다”며 “하지만 여러 시민과 국민들이 경호동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임대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경찰청과 경호동을 계속 유지할지, 유상으로 할지, 아예 옮기라고 할지를 협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시민들이 경호동 주변지역 통행에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지, 폐쇄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정밀하게 파악할 계획이다.
다만 전씨에 대한 경호정책의 타당성 자체를 서울시가 판단하지는 않는다고 윤 담당관은 전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004

당뇨병 여성, 난청 위험 커

당뇨병이 있는 여성은 난청이 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헨리 포드 병원 이비인후과전문의 데렉 한드조 박사는 남녀 990명을 성별, 연령대, 당뇨병 여부에 따라 구분, 청력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60세 이하 당뇨병 여성은 혈당조절이 잘 되든 안 되든 난청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러나 60-75세의 당뇨병 여성은 혈당이 잘 관리되는 경우 당뇨병이 없는 같은 연령대의 여성과 청력수준이 비슷했으나 혈당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난청 발생률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성은 연령대, 당뇨병 여부, 당뇨병 환자인 경우 혈당조절 여부에 관계 없이 청력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난청 발생률이 높았다.

이 연구결과는 마이애미 비치에서 열린 미국이비인후과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되었다.


http://cast.wowtv.co.kr/20120128/A201201280032.html

백제 vs 신라 왕관 미적 감각 비교




  1.신라 왕관
2.백제 왕관

둘다 서로 각기 다른 독특한 미를 갖고 있습니다. 정말 눈부십니다.

중국어는 원래 한국어랑 비슷했는데 베트남어의 영향을 받아서 변했다.

갤로거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조회수106 제 목 한국인들 조상은 예벤키족이 확실하다 숫대 문화가 같다 ㅋㅋㅋㅋ 2012-01-29 20:19:10 0 위메프 삼성 배터리가 전체댓글수6| 욕설이나 비방 댓글은 누군가에게 큰 상처로 남을 수 있습니다. 새로고침 Þorgeirr 정확히 한국인 조상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쓴 애들임|211.199.***.*** 2012.01.29 20:23 Þorgeirr 단군 신화 자체가 중국에서 온 애들이 북방 민족을 밀어버리는 것으로 한국과 중국은 언어적으로 비슷했다가 월나라의 지배 이후 중국어는 베트남어의 영향을 받아서 변했음|211.199.***.*** 2012.01.29 20:24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ㄴ 숫대 문화는 삼한부터 있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에 본것같다.. 숫대문화는 대표적으로 북방 통구스계통인들 문화인데.. 중국 일본에서는 드물다... 삼한은 에벤키족일 가능성이 높다....고구려 부여에서는 보기 힘들다 2012.01.29 20:27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86%9F%EB%8C%80 참고 2012.01.29 20:28 Þorgeirr 즉 곰 자체를 모든 동물의 위로 본 것 이 때문에 호랑이 믿던 애들은 경상도까지 도망가고 늑대 믿던 애들은 일본에 감|211.199.***.*** 2012.01.29 20:33 한열사에요 [wpgus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http://www.gojapan.com/trans_bulletin/forum_list_view.html?uid=24016&fid=24016&thread=1000000&idx=5&page=1&sort=&keyword=&tb=transCulture1&order=fid 참고

70년전에 우리나라는 세계최강 미국군과도 동등하게 싸웠다.

갤로거 나광팔 [dkfme**(고정닉)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조회수72 제 목 70년 전만해도.. 세계를 제패햇던 우린데.. 지금이게뭐냐.. 200만 군대와 4만 장교로 중국 대륙을 제패하고.. 말레이 전격전으로 영국군 좆바르고.. 세계 최강 미국과 동등하게 싸웟던.. 야마모토 이소로쿠여.. 야마구치 다몽이여.. 오자와ㅠ지사부로여.. 40년 전만해도 월남에서 귀신으로 불리며.. 10만 대군으로 월남을 쑥밭으로 만든게 우리 민족이다.. 언제부텨 이렇게 나약해진거냐.. 정부를 우습게보고 대통령을 친구로아는.. 민주화의 무서움이란 이런것이냐

여자가 남자보다 주차를 잘한다.

英NCP "여성이 남성보다 주차 잘한다"


여성이 남성보다 주차를 더 잘한다는 조사 결과가 영국에서 발표됐다.

이를 일반적인 명제로 받아들이기까지는 더 정교한 연구 방법이 도입돼야 한다는 견해가 여전하지만, 단순히 '공간 감각이 뛰어나기 때문에 남성이 주차를 더 잘한다'는 기존의 통념은 흔들릴 전망이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의 30일 인터넷판 보도에 따르면 이 조사에서 여성이 20점 만점에 평균 13.4점을 받은 반면 남성은 12.3점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영국의 주차서비스업체 NCP에서 실시됐으며, 차량 운전과 관련된 여러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운전 강사 닐 비슨이 CCTV로 2천500여명의 주차 장면을 지켜보며 점수를 매기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판정 기준은 얼마나 빈 주차 공간을 빨리 찾는지를 비롯해 진입 각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설정하는지, 얼마나 빨리 주차를 완료하는지 등이었다.

그중 여성은 공간 찾기와 정확한 진입각도 설정, 권장 사항인 후면 주차를 선택하는지 여부 등에서 남성보다 우세했다.

이에 비해 얼마나 빨리 주차를 끝내는지 혹은 정해진 주차면 안에서 차량을 가운데로 맞춰 세우는지 등에서는 남성이 앞선 모습을 보였다.

비슨은 이 결과에 대해 "나도 놀랐다"며 "주차에 관해서는 남성이 여성에게 더 많은 존경심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평행 주차는 이번 조사 대상이 아니었다.

smile@yna.co.kr


http://media.daum.net/culture/view.html?cateid=1044&newsid=20120130102512208&p=yonhap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IT 기기들

'블랙베리'로 한때 스마트폰 시장을 호령했던 캐나다의 리서치인모션(RIM)이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애플의 아이폰이나 구글 안드로이드 제품에 밀려 미국 스마트폰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점유율은 고작 10%로 떨어졌고 지난 한해 주가도 75%나 하락했다. 경영 부진과 실적 악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지난 23일 최고경영자(CEO)마저 자리에서 물러났다.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은 30일 이런 림이 나아갈 길은 신제품 출시로 재기에 성공하거나 경쟁사들이 시장을 잠식하는 동안 점차 쇠퇴하는 것, 혹은 소비자들에게 흔적도 없이 잊혀지는 것 3가지라고 설명하고, 블랙베리 쇠락을 계기로 한때 눈부신 성장을 이뤘지만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IT기기를 조명했다.

◇소니 워크맨(1979-2010) : 소니 워크맨은 걸어 다닐 때도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출시 직후부터 돌풍을 일으켰다.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장비를 만든 소니는 1980년대 기술 리더로 떠올랐다. LP는 다락방으로 밀려났고 좋아하는 음악을 모은 테이프를 듣는 경우가 많아졌다.

소니는 이후 카세트테이프에 이어 콤팩트디스크(CD) 플레이어를 만드는 데도 성공해 주목받았다.

하지만 2001년 등장한 미국 애플사의 아이팟은 워크맨의 아성을 단숨에 무너뜨렸고, 워크맨은 이제 거의 추억 속으로 밀려나 버렸다.

◇무선호출기, 삐삐(1951~) : 무선호출기는 의사와 같이 생명이 위태로운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최초의 무선호출기는 숫자만 표시할 수 있었기 때문에 911(지금 즉시 전화해)이나 07734(거꾸로 읽으면 'hello'와 비슷)처럼 숫자화된 어휘가 많이 사용됐다.

대중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지만 휴대전화가 등장하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휴대전화 네트워크보다 신뢰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응급의료서비스나 구조대원 등 한정된 그룹에서 사용되고 있다.

◇팜파일럿(1997~2007) :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PDA로 달력과 노트, 모든 연락처를 작은 기기 하나에 넣은데다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추가할 수 있어 처음 등장했을 당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이후에는 전화 기능까지 추가해 주목받았다.

하지만 2007년 1월 애플이 아이폰을 출시하면서 밀려났다.

◇폴라로이드(즉석카메라)(1948~2008) : 에드윈 랜드가 1948년 내놓은 즉석 필름 카메라로 1980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 팔린 카메라(1500만대)의 절반 이상(780만대)이 폴라로이드일 정도로 한 시대를 풍미했다.

1985년에는 코닥과의 특허권 분쟁에서도 승리하며 탄탄대로를 걷는듯했지만 승리의 기쁨도 잠시 1980년대 후반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또 2000년 휴대전화에 디지털 카메라가 탑재되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고 2001년 파산 선언, 2008년에는 즉석 필름 생산을 중단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아타리2600(1977~1984) : 비디오 게임을 집에서도 가능하게 한 가정용 게임기로 출시 때부터 1984년까지 3천만 개가 팔리며 각광받았다.

하지만 게임뿐 아니라 더 많은 작업을 할 수 있는 PC가 등장하면서 위기에 처했다. 당시 아타리사는 소비자들이 어떤 제품을 출시하더라도 구매해줄 것이라는 생각에 서둘러 게임을 만들어냈지만, 소비자들은 이를 빠르게 외면했다.

결국 팔리지 못한 기기와 게임 수백만 개가 1983년 뉴멕시코 매립지에 묻혔고 아타리2600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eshiny@yna.co.kr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view.html?cateid=1046&newsid=20120130115006239&p=yonhap&RIGHT_COMM=R7

축구선수들의 애인들

 
아펠라이
 
아르다투란
 

이구아인

 
슈바인슈타이거
 
밥티스타
 
카날레스
 



아펠라이




아르다투란



이구아인


아르테타



슈바인슈타이거


밥티스타


카날레스


칼루
  
김정우
 
정성룡 

 

 
 

 

 
 


 
 


 
 
    

온몸을 철갑으로 무장한 신종 메기 발견


환경단체인 국제 보존 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 조사팀이 최근 남미 수리남에게 발견한 총 46종의 신종생물을 공개해 눈길을 끌고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협회 측이 언론을 통해 공개한 신종 생물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전신을 철갑으로 무장(?)한 메기와 흰무늬가 돋보이는 카우보이 개구리. 
특히 이 메기는 자신이 주로 서식하는 강에 많은 대형 피라냐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스스로 가시로 무장하며 ‘철갑’으로 진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쿠타리 강에서 밤에 발견된 ‘카우보이 개구리’는 다리 언저리에 하얀 무늬가 있으며 청개구리과와 유사하다.  
국제 보존 협회의 트론드 라센은 “지구상에 몇 안남은 미답의 영역을 탐험한 것에 전율을 느낀다.” 면서 “이번 탐험을 통해 식물, 새, 양서류, 벌레 등 다양한 1,300종의 동식물을 확인해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129601002&cp=nownews

Study should be done through the action to acquire skill

What's Wrong With the Teenage Mind?


"What was he thinking?" It's the familiar cry of bewildered parents trying to understand why their teenagers act the way they do.
How does the boy who can thoughtfully explain the reasons never to drink and drive end up in a drunken crash? Why does the girl who knows all about birth control find herself pregnant by a boy she doesn't even like? What happened to the gifted, imaginative child who excelled through high school but then dropped out of college, drifted from job to job and now lives in his parents' basement?
[TEENCOVER] Harry Campbell
If you think of the teenage brain as a car, today's adolescents acquire an accelerator a long time before they can steer and brake.
Adolescence has always been troubled, but for reasons that are somewhat mysterious, puberty is now kicking in at an earlier and earlier age. A leading theory points to changes in energy balance as children eat more and move less.

At the same time, first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n even more dramatically with the information revolution, children have come to take on adult roles later and later. Five hundred years ago, Shakespeare knew that the emotionally intense combination of teenage sexuality and peer-induced risk could be tragic—witness "Romeo and Juliet." But, on the other hand, if not for fate, 13-year-old Juliet would have become a wife and mother within a year or two.
Our Juliets (as parents longing for grandchildren will recognize with a sigh) may experience the tumult of love for 20 years before they settle down into motherhood. And our Romeos may be poetic lunatics under the influence of Queen Mab until they are well into graduate school.
What happens when children reach puberty earlier and adulthood later? The answer is: a good deal of teenage weirdness. Fortunately, developmental psychologists and neuroscientists are starting to explain the foundations of that weirdness.

Photos: The Trials of Teenagers

Everett Collection
James Dean in the 1955 film 'Rebel Without A Cause'
The crucial new idea is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neural and psychological systems that interact to turn children into adults. Over the past two centuries, and even more over the past generation, the developmental timing of these two systems has changed. That, in turn, has profoundly changed adolescence and produced new kinds of adolescent woe. The big question for anyone who deals with young people today is how we can go about bringing these cogs of the teenage mind into sync once again.
The first of these systems has to do with emotion and motivation. It is very closely linked to the 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of puberty and involves the areas of the brain that respond to rewards. This is the system that turns placid 10-year-olds into restless, exuberant, emotionally intense teenagers, desperate to attain every goal, fulfill every desire and experience every sensation. Later, it turns them back into relatively placid adults.
Recent studies in the neuroscientist B.J. Casey's lab at Cornell University suggest that adolescents aren't reckless because they underestimate risks, but because they overestimate rewards—or, rather, find rewards more rewarding than adults do. The reward centers of the adolescent brain are much more active than those of either children or adults. Think about the incomparable intensity of first love, the never-to-be-recaptured glory of the high-school basketball championship.
What teenagers want most of all are social rewards, especially the respect of their peers. In a recent study by the developmental psychologist Laurence Steinberg at Temple University, teenagers did a simulated high-risk driving task while they were lying in an fMRI brain-imaging machine. The reward system of their brains lighted up much more when they thought another teenager was watching what they did—and they took more risks.
From an evolutionary point of view, this all makes perfect sense. One of the most distinctive evolutionary features of human beings is our unusually long, protected childhood. Human children depend on adults for much longer than those of any other primate. That long protected period also allows us to learn much more than any other animal. But eventually, we have to leave the safe bubble of family life, take what we learned as children and apply it to the real adult world.
Becoming an adult means leaving the world of your parents and starting to make your way toward the future that you will share with your peers. Puberty not only turns on the motivational and emotional system with new force, it also turns it away from the family and toward the world of equals.
The second crucial system in our brains has to do with control; it channels and harnesses all that seething energy. In particular, the prefrontal cortex reaches out to guide other parts of the brain, including the parts that govern motivation and emotion. This is the system that inhibits impulses and guides decision-making, that encourages long-term planning and delays gratification.
This control system depends much more on learning. It becomes increasingly effective throughout childhood and continues to develop during adolescence and adulthood, as we gain more experience. You come to make better decisions by making not-so-good decisions and then correcting them. You get to be a good planner by making plans, implementing them and seeing the results again and again. Expertise comes with experience. As the old joke has it, the answer to the tourist's question "How do you get to Carnegie Hall?" is "Practice, practice, practice."
In the distant (and even the not-so-distant) historical past, these systems of motivation and control were largely in sync. In gatherer-hunter and farming societies, childhood education involves formal and informal apprenticeship. Children have lots of chances to practice the skills that they need to accomplish their goals as adults, and so to become expert planners and actors. The cultural psychologist Barbara Rogoff studied this kind of informal education in a Guatemalan Indian society, where she found that apprenticeship allowed even young children to become adept at difficult and dangerous tasks like using a machete.
In the past, to become a good gatherer or hunter, cook or caregiver, you would actually practice gathering, hunting, cooking and taking care of children all through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tuning up just the prefrontal wiring you'd need as an adult. But you'd do all that under expert adult supervision and in the protected world of childhood, where the impact of your inevitable failures would be blunted. When the motivational juice of puberty arrived, you'd be ready to go after the real rewards, in the world outside, with new intensity and exuberance, but you'd also have the skill and control to do it effectively and reasonably safely.
In contemporary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ystems has changed dramatically. Puberty arrives earlier, and the motivational system kicks in earlier too.
At the same time, contemporary children have very little experience with the kinds of tasks that they'll have to perform as grown-ups. Children have increasingly little chance to practice even basic skills like cooking and caregiving. Contemporary adolescents and pre-adolescents often don't do much of anything except go to school. Even the paper route and the baby-sitting job have largely disappeared.
The experience of trying to achieve a real goal in real time in the real world is increasingly delayed, and the growth of the control system depends on just those experiences. The pediatrician and developmental psychologist Ronald Dahl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has a good metaphor for the result: Today's adolescents develop an accelerator a long time before they can steer and brake.
This doesn't mean that adolescents are stupider than they used to be. In many ways, they are much smarter. An ever longer protected period of immaturity and dependence—a childhood that extends through college—means that young humans can learn more than ever before. There is strong evidence that IQ has increased dramatically as more children spend more time in school, and there is even some evidence that higher IQ is correlated with delayed frontal lobe development.
All that school means that children know more about more different subjects than they ever did in the days of apprenticeships. Becoming a really expert cook doesn't tell you about the nature of heat o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alt—the sorts of things you learn in school.
But there are different ways of being smart. Knowing physics and chemistry is no help with a soufflé. Wide-ranging, flexible and broad learning, the kind we encourage in high-school and college, may actually be in tension with the ability to develop finely-honed, controlled, focused expertise in a particular skill, the kind of learning that once routinely took place in human societies. For most of our history, children have started their internships when they were seven, not 27.
The old have always complained about the young, of course. But this new explanation based on developmental timing elegantly accounts for the paradoxes of our particular crop of adolescents.
There do seem to be many young adults who are enormously smart and knowledgeable but directionless, who are enthusiastic and exuberant but unable to commit to a particular kind of work or a particular love until well into their 20s or 30s. And there is the graver case of children who are faced with the uncompromising reality of the drive for sex, power and respect, without the expertise and impulse control it takes to ward off unwanted pregnancy or violence.
This new explanation also illustrates two really important and often overlooked facts about the mind and brain. First, experience shapes the brain. People often think that if some ability is located in a particular part of the brain, that must mean that it's "hard-wired" and inflexible. But, in fact, the brain is so powerful precisely because it is so sensitive to experience. It's as true to say that our experience of controlling our impulses make the prefrontal cortex develop as it is to say that prefrontal development makes us better at controlling our impulses. Our social and cultural life shapes our biology.
Second, development plays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human nature. The old "evolutionary psychology" picture was that genes were directly responsible for some particular pattern of adult behavior—a "module." In fact, there is more and more evidence that genes are just the first step in complex developmental sequences, cascades of interactions between organism and environment, and that those developmental processes shape the adult brain. Even small changes in developmental timing can lead to big changes in who we become.
Fortunately,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mean that dealing with modern adolescence is not as hopeless as it might sound. Though we aren't likely to return to an agricultural life or to stop feeding our children well and sending them to school, the very flexibility of the developing brain points to solutions.
Brain research is often taken to mean that adolescents are really just defective adults—grown-ups with a missing part. Public policy debates about teenagers thus often turn on the question of when, exactly, certain areas of the brain develop, and so at what age children should be allowed to drive or marry or vote—or be held fully responsible for crimes. But the new view of the adolescent brain isn't that the prefrontal lobes just fail to show up; it's that they aren't properly instructed and exercised.
Simply increasing the driving age by a year or two doesn't have much influence on the accident rate, for example. What does make a difference is having a graduated system in which teenagers slowly acquire both more skill and more freedom—a driving apprenticeship.
Instead of simply giving adolescents more and more school experiences—those extra hours of after-school classes and homework—we could try to arrange more opportunities for apprenticeship. AmeriCorps, the federal community-service program for youth, is an excellent example, since it provides both challenging real-life experiences and a degree of protection and supervision.
"Take your child to work" could become a routine practice rather than a single-day annual event, and college students could spend more time watching and helping scientists and scholars at work rather than just listening to their lectures. Summer enrichment activities like camp and travel, now so common for children whose parents have means, might be usefully alternated with summer jobs, with real responsibilities.
The good news, in short, is that we don't have to just accept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dolescent brains. We can actually shape and change them.
—Ms. Gopnik is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nd the author, most recently, of "The Philosophical Baby: What Children's Minds Tell Us About Truth, Love and the Meaning of Life." Adapted from an essay that she wrote for www.edge.org, in response to the website's 2012 annual question: "What is your favorite deep, elegant or beautiful explanation?"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970203806504577181351486558984.html

Rewiring the Brain to Ease Pain

How you think about pain can have a major impact on how it feels.
That's the intriguing conclusion neuroscientists are reaching as scanning technologies let them see how the brain processes pain.
Alternative remedies for relief of chronic pain are getting new attention and respect these days. Melinda Beck has details on Lunch Break.
That's also the principle behind many mind-body approaches to chronic pain that are proving surprisingly effective in clinical trials.
Some are as old as meditation, hypnosis and tai chi, while others are far more high tech. In studies at Stanford University's Neuroscience and Pain Lab, subjects can watch their own brains react to pain in real-time and learn to control their response—much like building up a muscle. When subjects focused on something distracting instead of the pain, they had more activity in the higher-thinking parts of their brains. When they "re-evaluated" their pain emotionally—"Yes, my back hurts, but I won't let that stop me"—they had more activity in the deep brain structures that process emotion. Either way, they were able to ease their own pain significantly, according to a study in the journal Anesthesiology last month.
While some of these therapie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for years, "we are only now starting to understand the brain basis of how they work, and how they work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ays Sean Mackey, chief of the division of pain management at Stanford.
He and his colleagues were just awarded a $9 million grant to study mind-based therapies for chronic low back pain from the government's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CCAM).
Some 116 million American adults—one-third of the population—struggle with chronic pain, and many are inadequately treated,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Institute of Medicine in July.
Yet abuse of pain medication is rampant. Annual deaths due to overdoses of painkillers quadrupled, to 14,800, between 1998 and 2008, according to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painkiller Vicodin is now the most prescribed drug in the U.S.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drugs are only part of the solution and that people who live with chronic pain have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lls upon some inner resources," says Josephine Briggs, director of NCCAM, which has funded much of the research into alternative approaches to pain relief.
Already, neuroscientists know that how people perceive pain is highly individual, involving heredity, stress, anxiety, fear, depression, previous experience and general health. Motivation also plays a huge role—and helps explain why a gravely wounded soldier can ignore his own pain to save his buddies while someone who is depressed may feel incapacitated by a minor sprain.
"We are all walking around carrying the baggage, both good and bad, from our past experience and we use that information to make projections about what we expect to happen in the future," says Robert Coghill, a neuroscientist at Wake Forest Baptist Medical Center in Winston-Salem, N.C.
Dr. Coghill gives a personal example: "I'm periodically trying to get into shape—I go to the gym and work out way too much and my muscles are really sore, but I interpret that as a positive. I'm thinking, 'I've really worked hard.' " A person with fibromyalgia might be getting similar pain signals, he says, but experience them very differently, particularly if she fears she will never get better.
Dr. Mackey says patients' emotional states can even predict how they will respond to an illness. For example, people who are anxiou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ain after surgery or develop lingering nerve pain after a case of shingles.
That doesn't mean that the pain is imaginary, experts stress. In fact, brain scans show that chronic pain (defined as pain that lasts at least 12 weeks or a long time after the injury has healed) represents a malfunction in the brain's pain processing systems. The pain signals take detours into areas of the brain involved with emotion, attention and perception of danger and can cause gray matter to atrophy. That may explain why some chronic pain sufferers lose some cognitive ability, which is often thought to be a side effect of pain medication.
The dysfunction "feeds on itself," says Dr. Mackey. "You get into a vicious circle of more pain, more anxiety, more fear, more depression. We need to interrupt that cycle."
One technique is attention distraction, simply directing your mind away from the pain. "It's like having a flashlight in the dark—you choose what you want to focus on. We have that same power with our mind," says Ravi Prasad, a pain psychologist at Stanford.
Guided imagery, in which a patient imagines, say, floating on a cloud, also works in part by diverting attention away from pain. So does mindfulness meditation. In a study i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in April, researchers at Wake Forest taught 15 adults how to meditate for 20 minutes a day for four days and subjected them to painful stimuli (a probe heated to 120 degrees Fahrenheit on the leg).
Brain scans before and after showed that while they were meditating, they had less activity in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the part of the brain that registers where pain is coming from, and greater activity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which plays a role in handling unpleasant feelings. Subjects also reported feeling 40% less pain intensity and 57% less unpleasantness while meditating.
"Our subjects really looked at pain differently after meditating. Some said, 'I didn't need to say ouch,' " says Fadel Zeidan, the lead investigator.
Techniques that help patients "emotionally reappraise" their pain rather than ignore it are particularly helpful when patients are afraid they will suffer further injury and become sedentary, experts sa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hich is offered at many pain-management programs, teaches patients to challenge their negative thoughts about their pain and substitute more positive behaviors.
Even getting therapy by telephone for six months helped British patients with fibromyalgia, according to a study published online this week in th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Nearly 30% of patients receiving the therapy reported less pain, compared with 8% of those getting conventional treatments. The study noted that in the U.K., no drugs are approved for use in fibromyalgia and access to therapy or exercise programs is limited, if available at all.
Anticipating relief also seems to make it happen, research into the placebo effect has shown. In another NCCAM-funded study, 48 subjects were given either real or simulated acupuncture and then exposed to heat stimuli.
Both groups reported similar levels of pain relief—but brain scans showed that actual acupuncture interrupted pain signals in the spinal cord while the sham version, which didn't penetrate the skin, activated parts of the brain associated with mood and expectation, according to a 2009 study in the journal Neuroimage.
One of Dr. Mackey's favorite pain-relieving techniques is love. He and colleagues recruited 15 Stanford undergraduates and had them bring in photos of their beloved and another friend. Then he scanned their brains while applying pain stimuli from a hot probe. On average, the subject reported feeling 44% less pain while focusing on their loved one than on their friend. Brain images showed they had strong activity in the nucleus accumbens, an area deep in the brain involved with dopamine and reward circuits.
Experts stress that much still isn't known about pain and the brain, including whom these mind-body therapies are most appropriate for. They also say it's important that anyone who is in pain get a thorough medical examination. "You can't just say, 'Go take a yoga class.' That's not a thoughtful approach to pain management," says Dr. Briggs.
Write to Melinda Beck at HealthJournal@wsj.com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970204323904577038041207168300.html?mod=WSJ_hps_editorsPicks_1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