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Tuesday, March 20, 2012

미국 연구진, ‘비만의 비밀’ 밝혀내다



미국 연구진, ‘비만의 비밀’ 밝혀내다


특정한 유전자의 변이가 어떻게 해서 비만으로 이어지는 지를 밝히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타운대학 연구진이 밝힌 바에 따르면 뇌유래 신경영양 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유전자의 변형이 무절제한 식탐을 초래하고 결국 비만으로 이어진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과거의 연구를 통해 BDNF가 비만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식탐과 구체적으로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생쥐의 BDNF가 변형되면서 뇌 안에 있는 뉴런들이 서로 소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관찰했다. 그 결과 생쥐들은 학습력과 기억력 장애와 더불어, 심각한 비만증세를 보였다.

연구를 주도한 바오지 슈는 뉴런들이 상호간에 신호를 보내는 작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냅스가 형성되고 성숙하는데 BDNF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한다. 이 작용은 연속된 DNA의 RNA 복사본을 짧은 것과 긴 것 두 종류로 만들면서 가능해진다.

그러나 변형된 BDNF는 짧은 복사본만 만들어 뉴런의 세포체 내에서만 합성이 되고 수상돌기 (dendrite)에서는 되지 않아 성숙하지 않은 시냅스를 과다하게 만들어낸다.

이로 인해 생쥐들이 여러 장애를 겪는 것으로 추정된다.

슈는 이 실험이 “뉴런 안의 나무와 비슷한 확장물인 수상돌기에서의 단백질 합성이 몸무게 조절에 필수적이라는 것이 밝혀진” 첫 번째 사례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렙틴과 인슐린이 수상돌기에서 BDNF의 합성을 자극하여 뉴런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역시 밝혀졌다.

뉴런을 버스 정류장에 비유하면 시냅스는 정류장을 잇는 도로이고 렙틴과 인슐린에서 나오는 화학적 신호가 뉴런 사이를 오가는 버스인 셈이다. 그리고 BDNF의 단백질 합성작용은 교통을 활발하게 하는 경찰관과 같은 역할을 하여 신호가 뉴런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교통경찰관이 실수를 하면 버스가 도로에 막혀 꼼짝 못하는 것과 같이, 변형된 BDNF는 뉴런간의 소통에 장애를 일으킨다.

인간의 경우, 렙틴과 인슐린 화학 신호가 식욕을 담당하는 시상하부 (hypothalamus) 내의 정확한 위치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것이 실패할 경우 무절제한 식탐으로 뚱뚱해진 쥐들처럼 먹는 것을 멈출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신호 전달 체계가 망가졌을 때 이를 고치는 방법과 뇌를 이용해 몸무게 조절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http://m.koreaherald.com/view.htm?20120320000836

No comments:

Post a Comment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