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Monday, December 29, 2014

(공감글)미국내 동양인, 흑인들 역겨운점 소수 인종의 역겨운점


제 목미국내 동양인, 흑인들 역겨운점  글쓴이 리얼팩트  조회 266  댓글 10   
2014-12-29 15:02:43
147.46.*.*
 
 




지들은 asian pride, black pride 운운하며

자신들의 하찮은 장점(빠따식 교육으로 시험잘봄-물론 시험만 잘보지 학술적 업적은 종범-, 공놀이 잘함, 광대짓 잘함 등등)을 근거로

"아시아인임이 자랑스럽다, 아시아인은 우월해!"
"흑인임이 자랑스럽다, 흑인은 우월해!"

따위의 개소리를 지껄임

심지어 community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저런 같잖은 pride를 강요하면서

저런 유치하고 오글거리는 자아도취적 헛소리를 도저히 못하겠다고 거부하는 인간은

"너 바나나(겉은 황인 속은 백인)지?" "백인 흉내내지마 역겨운 놈아" "너는 니가 속한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도 없어?"

따위의 개소리를 지껄이며 마녀사냥함

이런 새끼들이 정작 백인들이 white pride를 운운하며

"아 우리 백인들이 경제제도, 과학기술, 사회제도, 법제도, 민주주의를 봐! 21세기 문명사회는 우리 백인들이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지(*리얼팩트*)
백인은 역시 우월해 난 백인임이 자랑스러워!"

라고 지들이 하는 것과 정확히 똑같은 구조의 발언을 하면

"인종차별주의" "백인우월주의자" 운운하며 ㅂㄷㅂㄷ 지랄병을 함

아니 지들이 하는 것과 똑같은 구조의 발언인데 왜 부들부들 지랄이시죠?

니들이 가지는 우월감은 착한 우월감인가요?


킴취워리어 원래 못난 놈들이 그래..  2014.12.29 15:03:36 삭제버튼






 

Friday, December 26, 2014

filipino look a little more north east asian looking than malay and indonesian

the difference with japanese and koreans is that japanese look ''some what ''south east asian

the difference with filipinos and malaysians, indonesians.. is that filipinos are ""some what" more oriental looking than our malay & indonesian brothers//

on top of that.. FILIPINOS look different from each other!!!

http://www.eastbound88.com/showthread.php/32529-Differences-between-Filipinos-Indonesian-and-Malaysian/page4

arab music is from greek music

Middle eastern music spans across a vast region, from Morocco to Iran. Greek Music Influenced Middle Eastern Music. Middle Eastern music influenced India, as well as Central Asia and Spain.[citation needed] The various nations of the region include the Arabic-speaking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Iraqi traditions of Mesopotamia, Iranian traditions of Persia, the Hebrew music of Israel, Armenian music, the varied traditions of Cypriot music, the music of Turkey, traditional Assyrian music, Berbers of North Africa, and Coptic Christians in Egypt all maintain their own traditions.
Throughout the region, religion has been a common factor in uniting peoples of different languages, cultures and nations. The predominance of Islam allowed a great deal of Arabic and Byzantine influence to spread through the region rapidly from the 7th century onward. The Arabic scale is strongly melodic, based around various maqamat (sing. maqam) or modes (also known as makam in Turkish music). Arabs translated and developed Greek texts and works of music and mastered the musical theory of the music of ancient Greece (i.e. Systema ametabolon, enharmonium, chromatikon, diatonon).[1] This is similar to the dastgah of Persian music. While this originates with classical music, the modal system has filtered down into folk, liturgical and even popular music, with influence from the West. Unlike much western music, Arabic music includes quarter tones halfway between notes, often through the use of stringed instruments (like the oud) or the human voice. Fur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music include very complex rhythmic structures, generally tense vocal tone, and a monophonic texture.
Often, more traditional Middle Eastern music can last from one to three hours in length, building up to anxiously awaited, and much applauded climaxes, or tarab, derived from the Arabic term طرب tarraba.[2]


http://en.wikipedia.org/wiki/Middle_Eastern_music

Arabs don't like the fact that Arabian Music is from Greek Music

Condescending attitude toward ancient Greece[edit]

There it multiple times where the author(s) make condescending remarks, especially toward ancient Greek society, asserting that Arab systems are superior, below I will list a few examples.
"Arabs translated and developed Greek texts and works of music and mastered the musical theory of the Greeks"
"Mastered" is a strong word, perhaps "learned" or "expanded upon", "mastered" is condescending, a word that expresses more of a cultural harmony rather than superiority should be preferred.
"He surpassed the achievement of the Greek musicians in using the alphabetical annotation for one eighth"
Again the author(s) is trying to show they are superior to the Greeks, perhaps they the author is prejudice against Greek culture?
"the Arabic system is more complex than that of the Ancient Greek harmoniai"
This is vague, what exactly does "more complex" mean? Also it is irrelevant, the article goes on to explain the Arabic music system, that is the important information, not whether or not who's better or "more complex" at music.
The article needs to be rewritten to be more informative about Arabic music, indeed that is what I want to learn about, not hear about someones bias against Ancient Greece. — Preceding unsigned comment added by BookishRogue (talkcontribs) 22:39, 21 February 2013 (UTC)

http://en.wikipedia.org/wiki/Talk:Arabic_music#Arabic_music_--.3E_Arab_music

아랍음악은 그리스음악에서 베껴온 음악이다.

융성기[편집]

이슬람교에서는 음악을 금제(禁制)의 하나로 삼기 때문에 종교음악은 끝내 생겨나지 못했다. 그러나 세속음악은 궁정·귀족·부호 등의 보호 아래 교의상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행하였다. 무함마드의 한 아내는 가희(歌姬) 출신이었으며, 아랍의 대표적 악기가 된 우드('ud)의 보급이 시작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옴미아드조에 와서는 사라센 제국이 건설되자 수도를 메디나에서 시리아의 다마스쿠스로 옮겨 페르시아나 비잔틴과 교섭이 많아졌다. 그리하여 헬레니즘 문화를 채택, 그리스의 과학이나 예술이 시리아어(語)나 아랍어로 번역되어 과학적인 음악이론을 발전시켰다. 이것은 다른 동양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아랍 음악의 특징이 되었으며, 궁정의 할렘이 융성해지고 가희나 음악가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 일종의 계급을 형성하여 귀족 및 부호와 유대를 맺었다. 일찍부터 음악이론서도 저술되고 그리스어에 따라 음악을 무지키(Mus gi)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악리 연구[편집]

아랍인의 악리 연구가 결실을 맺은 것은 코르도바였으며, 그리스적·아랍적인 이론이 여기서 완성을 보아 중세 유럽인은 코르도바로부터 배우는 바가 많았으며 중세 음악에의 영향, 특히 세속음악에의 자극이 컸다. 이론가의 제1인자인 알리 알 이스파하니(Ali al-Isfah ni)를 비롯하여 음악 이론가, 철학자 및 과학자로 유명한 알 파라비(Al-F r bi)의 저서인 <음악의 대서(大書)(Kitab al-Musiqi al-Kabir)>가 현존하여, 최근에 프랑스인 엘랑제르에 의해 프랑스어로 번역 출판되기도 했다. 또한 동양의 다른 여러 나라와 현저하게 다른 점은 과학적인 음악 이론이 그리스로부터 들어와 발전했다는 점이다. 음악이론은 예술로서라기보다 과학적인 음악이론으로서 발달한 점이 중국과 흡사하며 아랍의 우드('ud), 중국의 율관(律管)은 그리스의 모노코드(monochord)와 똑같은 기능을 발휘하였다. 근세 인도의 음악이론, 특히 음계론 및 리듬론의 발달도 이슬람의 영향에 의하는 점이 많았다. 우드를 비롯한 현악기에 음의 수리론(數理論)을 반영하여 척도(尺度)가 새겨져 있다는 점도 진귀하다. 음률은 옛날에는 9율(九律)이었다고 전해지나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9율은 4도 음정을 차례로 겹쳐 얻은 음정을 1옥타브 안에 배열시킨 것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95%84%EB%9E%8D_%EC%9D%8C%EC%95%85

Thursday, December 25, 2014

fayum art is greek custom

4 d. The Christ of Sinai strongly resembles the portraits made of people who had died. These were painted (wax encaustic) on wooden panels. Here are three such portraits. They are associated with Fayum in Egypt, though it was a Greek custom; they have just been preserved best in Egypt. This young man has the large, expressive eyes typical of these portraits.

http://frederica.com/writings/an-overview-of-the-history-of-icons.html

ancient greeks and romans all preffered black eyes and black hair

 

    BLACK EYES

    The Greeks and Romans, as already remarked, entertained very different sentiments of beauty. The former were fond of eye-brows wide asunder, and a well-proportioned forehead. The latter preferred eye-brows that met, and a little forehead. The Romans preferred eyes of moderate size, the Greeks wished to have them large. The colors of the eyes, like that of the hair, have no less their different advocates. The ancients preferred black eyes, and the modern Greeks still have such a predilection for the same color, that, as we are informed by M. Guys, in his Letters on Greece, the very men frequently take their names from that circumstance. He says that he knew several who were called macromate, which in the vulgar language signifies black eyed. The opinions of certain nations ought not, however, to induce us to give the absolute preference to black eyes, and to adjudge to them exclusively the prize of beauty. Every one so far, ought to be allowed to be the arbiter of his own taste, let us not then give implicit credit to the assertions of the Greeks, when they tell us that black eyes are the most beautiful; since it is well known that hazel, and large blue eyes, have their admirers wherever taste and elegance are to be found. The color alone, however, does not contribute to the beauty of the eye, it depends still more on the form. If the eye, for instance, be too large, too small, too prominent, it is equally distant from perfection.
    -Allen And Ticknor, "The Toilette Of Health, Beauty, And Fashion (1834)"



    Quote:
     
    T. Maccius Plautus, 3rd=2nd c. BC, Poenulus describing the appearance of a beautiful (venusta) woman:


      Specie venusta, óre atque oculis pernigris.

      Of agreable form, with a small mouth, and very dark eyes.


    P. Terentius Afer, 2nd c. BC, Heautontimorumenos. A father proposes to give a red-haired light-eyed (caesiam) and convex-nosed girl to his son, who protests.


      So. Gnate mi, ego pol tibi dabo illam lepidam quam tu facile ames;
      Filiam Phanocratae nostri.

      Cl. Rufamne illam virginem,
      Caesiam, sparso ore, adunco naso? non possum, pater.

    SOSTRATA My son, upon my honor I'll give you that charming girl, whom you may soon become attached to, the daughter of our neighbor Phanocrata.

    CLITIPHO What! that red-haired girl, with cat's eyes, freckled face, and hooked nose? I can not, father.

    C. Valerius Catullus, 1st c. BC, Carmina, 43 compares a girl that does not have various beautiful features, including not dark eyes, to his Lesbia:


      Salve, nec minimo puella naso
      nec bello pede nec nigris ocellis
      nec longis digitis nec ore sicco
      nec sane nimis elegante lingua
      decoctoris amica Formiani.
      ten provincia narrat esse bellam?
      tecum Lesbia nostra comparatur?
      o saeclum insapiens et infacetum!

      Greetings, girl with a nose not the shortest,
      feet not so lovely, eyes not of the darkest,
      fingers not slender, mouth never healed,
      and a not excessively charming tongue,
      bankrupt Formianus’s ‘little friend’.
      And the Province pronounces you beautiful?
      To be compared to my Lesbia?
      O witless and ignorant age!


    Sextus Propertius, 1st c. BC, Elegiae, II, 12


      quam si perdideris, quis erit qui talia cantet,
      (haec mea Musa levis gloria magna tua est),
      qui caput et digitos et lumina nigra puellae,
      et canat ut soleant molliter ire pedes?


    If you destroy me, who will there be to sing like this? (This slender Muse of mine, is your great glory.) Who will sing the face, the hands, or the dark eyes of my girl, or how sweetly her footsteps are accustomed to fall.

    Sources for the texts is the Corpus Scriptorum Latinorum

    Update: Finally the Latin physiognomist Loxus (cf. "Loxus, Physician and Physiognomist," Geneva Misener, Classical Philology, Vol. 18, No. 1. (Jan., 1923), pp. 1-22.) believed that the ideal woman ought to have a fair complexion, brown hair and dark eyes.


    http://dienekes.ifreepages.com/blog/archives/000371.html

Ancient Roman historian tacitus wrote that iberians have blonde and red hair


Cornelius also, the author of the Annals, says that in the farthest part of Britain the night gets brighter and is very short. He also says that the island abounds in metals, is well supplied with grass and is more productive in all those things which feed beasts rather than men. Moreover many large rivers flow through it, and the tides are borne back into them, rolling along precious stones and pearls. The Silures have swarthy features and are usually born with curly black hair, but the inhabitants of Caledonia have reddish hair and large loose-jointed bodies. They are like the Gauls or the Spaniards, according as they are opposite either nation.

http://s1.zetaboards.com/anthroscape/topic/3797070/8/

Albanian is Greek

 
Nice video. But the title is wrong. First of all, Albanians are Greeks, so the title should be ''Greeks girl of Albanian origin''. The most beautiful girls of the world are Albanian girls!!! Albanians are Greeks, and maybe more Greeks than the real Greeks.
 

this is what lier nordicists want to believe about greece but do not care ancient iberians being celts and light

How do greeks look like?
Mjora
May 11 2011, 04:19 AM
You know Gyros is a variant of Turkish Döner.His ancestors were from Anatolia perhaps
According to Mjora's logic those who sell gyro in Greece and elsewhere are from Anatolia and those who sell hamburger are from Germany, while those who sell hot dog are all from America, what a logic....Well, let me inform you that those who sell gyro in Greece and elsewhere are from all over Greece.
Mjora
May 11 2011, 11:45 PM
memobekes
May 11 2011, 10:14 AM
The Greeks have always been a nation composed of a lot of "blond" types, not to mention that in Turkey (in and around the Aegean coast) quite often the more European (or fair) looking people are partially descended from the Anatolian Greeks. Some people really do have the wrong impression on Greeks...
I don't know if your observation is true.Most fair and European looking people in Aegean coast are immigrants and most of them have slavic admixture.(Even tough the immigrants from Greece)
Greeks have lighter types among them by the ancient times, the Slavs came in the Balkans during 6th century, so the admixture is more ancient, especially in the Aegean islands, where no 6th century Slav ever reached.


http://s1.zetaboards.com/anthroscape/search/4/?c=3&mid=1493645&month=11&year=2011

 

ancient roman see iberian as light as wales

Trog covered some good points there, and i'll leave Trog to debate this with the others. However just about the following point:

''We can refer to the Romans and how they described the Silures of Wales as being "swarthy" like the Iberians across the sea from them''
---

This is an unfortunate translation which Afrocentrics have latched to. :sick:

It is from Tacitus, Agricola, Chapter XI:

''Namque rutilae Caledoniam habitantium comae, magni artus Germanicam originem adseverant; Silurum colorati vultus, torti plerumque crines et posita contra Hispania Hiberos veteres traiecisse easque sedes occupasse fidem faciunt.''

Here Tacitus describes the Caledonians (Picts) as red haired (rutilae) but the Silures as ''colorati''.

Colorati is a highly ambiguous term, it does not always mean simply dark or swarthy skinned. Note for example how it appears in Ovid:

Amores, I. 14. 16:

''Vele colorati qualia Seres habent''

translation:

''Like the Woven cloth which the red-faced (sunburnt) Seres wear''

Charles Isaac Elton's translation of the Tacitus passage was therefore as follows:

''The red hair and large limbs of the inhabitants of Caledonia point clearly to a German origin. The sunburnt hue (red faces) of the Silures, their usually curly hair, and the fact that Spain is the opposite shore to them, are an evidence that Iberians of a former date crossed over and occupied these parts'' - Origins of English History, Charles Isaac Elton, 1890, p. 138.

So the Silures could just have been nothing more than reddish skinned by a slight sunburn, not a dark/olive/swarthy tan.

http://s1.zetaboards.com/anthroscape/topic/3797070/8/

ancient iberians have blonde and red hair according to Romans

Trog
Dec 5 2010, 05:07 PM
The description of the Silures is from Tacitus and is quoted in comparing the Silures with their similarities to Iberians:

I hardly think being notably "sunburnt" in the hills of the Wales is a common trait and yours is the only translation I have seen of this passage that attempts to alter it in this way. I recognise your leanings, but you need not fear the idea of swarthy Britons.
The mistake is assuming the ancient Iberians were a swarthy Mediterranean people. Note how Jordanes describes them:

Jordanes, Getica, 2. 13 (551 AD):

‘‘The inhabitants of Caledonia have reddish hair and large loose-jointed bodies.
They are like the Gauls or the Iberians, according as they are opposite either nation.’’

Redheaded Iberians? Something you won't find mentioned on Deinekes blog. :lol:


http://s1.zetaboards.com/anthroscape/topic/3797070/8/

Wednesday, December 24, 2014

Turkish and Arab music and foods are from Greece

 
+HELEN Kouris you are not Greek. Shame on you. Turks and Greeks are NOT the same. Yes turks sing this song eat the same food that's because they stole it from you. Yiu are saying u have the same blood? Shamr on u. Turks are mongols who immigrated in the 11th century and stole everything greeks had. For a true greek we r not the same naver will be. Viva grecia armenia
 
 

Saturday, December 13, 2014

when quake live stuck at still awaiting challenge, use this command

[–]Tjjemp0r 2 점3 점  (개 답글 0)
do a /web_reload until friend list pops up
They are trying to resolve the issue

[–]superfrenchdude 1 점2 점  (개 답글 0)
/reconnect. If it doesn't work, try /web_reload and then try to join again

[–]moon-bear 0 점1 점  (개 답글 0)
Me too buddy. Me too. :(

[–]cplax15 0 점1 점  (개 답글 0)
Yep. Same here. Happened to me last week as well.

[–]SCphotog 0 점1 점  (개 답글 0)
I have to run the executable twice as of late... and then once I do get into the game, I get stuck at the await screen... restarting the application usually fixes it.
Frustrating, but it still works with a bit of dilligence.
Now if I could just find a server with a decent ping... or if I could keep the LPB's out of mine... sheesh.
You folks with pings under 30 piss me off. Because I want a good ping too.

[–]debianite 0 점1 점  (개 답글 0)
So that's why there was no one playing instagib with me at lunch :(


http://www.reddit.com/r/QuakeLive/comments/2mqpae/stuck_at_awaiting_challenge/

Sunday, December 7, 2014

객가족 한족은 동남아시아에 진출했다.

객가족(하카족, 진퉁한족): 고대 중국 때부터 지배층 형성(스스로도 한족이라 인식했음) => 서진 시대 이후로 이민족의 침략을 받으면서 당, 송 시대에 중국 남부, 동남아, 타이완 등지로 대거 이주하고 해당 지역에 경제붐, 문화 발전 일으킴 => 중국 본토가 만주족에 먹혀 잡종 짭퉁 짱깨들한테 잠식되면서 본격적으로 동남아, 중국 남부, 타이완에 정착하여 화교권 형성 => 이게 현대의 싱가폴, 홍콩, 타이완으로 이어짐.

부여계(예맥족): 고조선 => 부여, 고구려(예맥족 지배층과 만주 잡민족들 피지배층) => 백제(부여계 지배층과 반도 토착민 피지배층), 일본(부여계 지배층과 죠몬 피지배층)

※현대 한국의 조상인 신라는 에벤키 잡종들이 세운 근본없는 나라로, 부여계의 적이었고, 따라서 부여계와 현대 한국인은 관련 없음.



동아시아 역사는 객가족과 부여계가 장군멍군 하면서 진보하였고, 현대에도 객가족이 중국 공산당에 대거 침투하여 요직을 차지하는 등(중국 경제의 발전을 주도한 덩샤오핑이 객가족) 이 두 민족의 구도는 현대에 중국 vs 일본의 대결 양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istory&no=1458611

Friday, December 5, 2014

Fayum Arts depict Greek ancestors.

Here follows a remarkable post on Fayum painting, a subject that needs more attention. On my part I’d like to remind that fayum painting can be considered as a predecessor of Orthodox Christian iconography, which turned hellenistic art to even more ascetic and symbolical ways, instead of emphasizing its three dimensional elements.
Fayum Portraits – source: My Greek Odyssey
fayum Fayum
The Fayum portraits are a collection of 1st to 3rd century portraits made up mostly of Greek colonists of ancient Egypt. These colonists settled in cities like Alexandria after the conquest of Egypt by Alexander the Great and its subsequent rule by Greek Kings. They are among the best surviving portraits of antiquity. Scattered in museums such as the British Museum, The Louvre, and the Museum of Art in New York, they represent some of the finest examples of Greek art, providing us with snapshots depicting some of our Greek ancestors.  Looking at them one has the eerie feeling that he is meeting some long lost relatives for the first time. They were made with hot, pigmented wax on wooden panels, which were completed during the life of the individual and displayed in their home, this custom belonged to the traditions of Greek Art. After the person was deceased, the portrait panel was placed over the mummified individuals face.  The surviving paintings are predominantly from the Fayum region in Egypt and were completed during Hellenistic and Roman periods in this province, which had been settled primarily by Greek colonists, many of whom were soldier-veterans. The practice was common and the painters of the Fayum were either Greek residents dating from the Ptolemaic period of the late 4th century B.C., or those who had inherited the Greek artistic tradition. According to Eurosyne Doxiadis in her book entitled “The Mysterious Fayum Portraits: Faces from Ancient Egypt” the dry climate of the region preserved many of the paintings until today. 
FayumPaintings of this type, were often painted in the elaborate technique, using pigments mixed with hot or cold beeswax and other ingredients such as egg, resin, and linseed oil. This versatile medium allowed artists to create images that in many ways are akin to oil paintings in Western art. The boy’s head, for instance, stands out with an impression of real depth from the light olive-colored background. His face is modeled with flowing strokes of the brush and a subtle blend of light and dark colors. Shadows on the left side of the face, neck, and garment and bright shiny spots on the forehead and below the right eye indicate a strong source of light on the boy’s right. Most arresting are the eyes, dark brown with black pupils that reflect the light with bright spots. This manner of painting,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gyptian style but was well known in Greco-Roman Egypt, originated in Classical Greece in the fifth and fourth centuries B.C.
For more portraits see the collection here.
Cf. Protestant and Orthodox iconography compared


http://www.ellopos.com/blog/?p=179

Monday, December 1, 2014

미국은 독일 과학자때문에 과학이 발전하였다.


제 목미국이 세계 최고인건 이거지 글쓴이 으랏차차  조회 19  댓글 0   
2014-12-01 14:01:59
 
 




자원 + 독일 과학자 버프받고 전세계에서 이민충 받아서 존나 성장함.


19세기만 해도
유럽인구의 1/10도 못미치는 나라 였는데
유럽이 세계대전의 피해로 절망했을때 스스로를 기회의 땅, 자유의 나라로
어필 존나해서 지금은 서유럽 주요 국가 다 합한것보다 많음.


이름은 모르겠는데 존나 유명한 일본계 공대 교수가 말하길
지금도 미국 산업 발전시키는 부류는 전문직 종사 외국인들이라면서
미국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직 취업 비자 포기하면 씹똥망 할거라고 경고함.


아주 틀린말은 아닌게 전투기 개발 역사를 보면
미국과 소련의 근본적인 차이는
소련은 돈은 없지만 과학자들이 존나 똑똑했다는 거고
미국은 과학자들이 소련보다는 병신이었지만 돈이 많아 이것저것 실험해서 알아낸 경험 축적이 강했음.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istory&no=1452775&page=1

Sunday, November 30, 2014

김병모의 고고학 여행, Part 1: 그리스-알타이-신라를 이어 준 汗血馬의 질주

그리스-알타이-신라를 이어 준 汗血馬의 질주

新羅의 신화·알타이의 눈보라·무덤 속의 女戰士·曲玉·금관·積石목곽분·싸랑·솟대·샤먼… 그 속에 감춰진 우리의 原形과 만나다.
비로소 피부로 접한 알타이 文化0309_562-1.jpg알타이는 산 이름이다. 동시에 산맥 이름이며, 그 주변 지역의 이름이다. 중앙아시아 내륙지방의 고원지대에 알타이산이 솟아 있고 알타이 산맥이 東西로 흐른다.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카자흐인, 퉁구스인, 브리야트인, 에벤키인, 야쿠트인, 몽골인 등이 넓은 의미의 알타이족들이다. 이들의 각종 언어는 모두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한국어와 일본어와도 깊은 親緣(친연) 관계에 있다.
  나의 알타이에 대한 관심은 박시인 교수가 소개한 알타이 신화 때문이었다. 朴교수는 알타이 지역을 답사해 보지 못한 채 2차 자료만 가지고 알타이 문화를 소개하였지만, 그 내용에는 한국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만 하는 것들이 수두룩하였다. 이를테면 영특한 새로서 까마귀의 기능이라든지, 씨족의 조상이나 최초의 왕이 등장하는 장소가 「신령스러운 나무(神樹)」 밑이라는 것 같은 내용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三足烏(삼족오)나, 鷄林(계림:경주)에서 발견되는 김알지 설화 같은 것이었다. 그런 내용을 읽어 가면서 나는 큰 충격을 받았다.
 
한국어는 알타이 계통의 언어다. 왜 가까운 중국어와 비슷하지 않고 저 멀리 알타이와 가깝단 말인가? 이런 소박한 의문에 대한 역사적·인류학적 해답이 없던 시절은 의외로 오래 계속되었다. 1990년 이후 러시아가 문호를 개방하고 나 같은 인문학 연구자들이 광활한 시베리아와 스텝지대를 자유롭게 탐사할 수 있게 된 연후에야 비로소 글자로만 접하던 알타이 문화를 피부로, 肉聲(육성)으로 만날 수 있었음은 참으로 커다란 행운이었다.

  



스키타이 女戰士의 모자
 
0309_562_1.jpg알타이 남서쪽에 살고 있는 카자흐족의 민속신앙에 위대한 샤먼의 탄생과정을 설명하는 내용이 있다.
 
즉, 아기를 낳고 싶은 여인이 커다란 나무 밑에서 몇 시간이고 기도를 한다. 그 간절한 소원이 하늘의 절대자에게 전달되면 새들이 날아와 나무 위에 앉는다. 그러면 그 여인이 잉태한다. 엑스터시 과정이다. 그런 과정으로 태어난 아이가 커서 위대한 지도자가 된다. 나무 - 새- 엑스터시 잉태- 위대한 샤먼의 탄생이라는 圖式이다. 그래서 알타이 문화권에서 태어난 유능한 지도자는 모두 아버지가 없다.
 
한국사에서도 탄생과정이 신화로 처리되어 있는 사람이 씨족의 始祖(시조)나 왕으로 등장한 경우가 많다.
 
신라의 朴赫居世(박혁거세)와 김알지의 부모가 불분명하고, 昔脫解(석탈해)와 金首露(김수로)도 누구의 후손인지 모른다.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동쪽 이시크(Issyk) 고분에서 발견된 기원전 3세기경 사람인 스키타이 여자 戰士(전사)는 금으로 만든 솟대를 모자에 달고 있었는데, 그 모양이 신라 금관의 디자인과 똑같아서 우리를 놀라게 하였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알타이에 발굴되어 「얼음공주」라는 별명이 붙은 여자 귀족의 높이 올린 머리장식에서 금으로 만든 새가 여러 마리 달려 있어 솟대에도 여러 가지 디자인이 있음을 보여 준 사실이다.
 
신라 자비마립간의 여동생인 鳥生夫人(조생부인)은 이름도 새가 낳은 부인이라는 뜻이지만 그 여인의 직업도 의례를 관장하는 祭官(제관)이었다. 신라와 유사한 민족구성과 문화양상을 지닌 弁辰(변진)에서 大家(대가)가 죽으면 대문에 새의 날개를 달았다고 한다(魏志 東夷傳). 죽은 자의 영혼이 하늘로 날아간다는 뜻이라고 한다.
 
한국에서 발견된 고고학적인 실물로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청동 조각품에 나무 위에 새들이 앉아 있는 것들은 한둘이 아니고, 경주 瑞鳳塚(서봉총)에서 발굴된 신라 금관은 여성용이었는데, 머리 부분에 세 마리의 새가 앉아 있었다. 하늘나라로 영혼을 인도하는 새들임에 틀림없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역사 속의 새는 아마도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해(太陽) 속의 세 발 달린 까마귀일 것이다.
 
신라 왕족들의 무덤 형식은 積石墓(적석묘·Cairn)로서 기마민족의 전통이다. 통나무집에다 시신과 부장품을 집어넣고 막돌로 둥글게 덮는 모양이다. 그 문화를 스키타이-알타이式이라고 부를 수 있다.

0309_562_2.jpg신라의 금관 중에 순금제는 모두 적석묘에서만 발견된다. 금관의 제작시기는 5~6세기로서 주인공들은 모두 金씨계 인물들이다.
 
金씨계의 조상은 김알지이다. 그는 계림에서 발견한 상자 속에 있던 어린아이였다. 같은 신라의 첫 번째 왕인 박혁거세도 하늘에서 날아온 말이 놓고 간 알(卵)에서 탄생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한국의 신화체계는 하늘에서 成人(성인)으로 내려와 통치자가 되는 고조선의 桓雄(환웅)이나 부여의 解慕漱(해모수) 같은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알이나 상자(櫃) 속에서 태어나는 사람으로 구별된다. 전자를 天孫(천손)신화라 부르고 후자를 卵生(난생)신화라고 부른다. 아시아에서 천손신화는 기마민족인 스키타이, 알타이, 몽골족의 신화이고 난생신화는 농경민족인 대만의 빠이완족, 타이족, 자바족, 인도의 문다족의 사회에서 발견되는 현상이 뚜렷하다. 즉 천손신화는 北아시아의 기마 유목민족들의 신화이고 난생신화는 南아시아의 농경민족들의 신화이다.
 
漢字로 금(金)이라는 뜻은 「쇠(鐵)」의 뜻과 「순금」의 의미도 있지만 역사에 등장한 신라 김알지로 시작되는 「김」은 순금의 뜻이다.
 
따로 이야기하겠지만 김(金)이라는 말의 뜻이 기마민족의 언어인 알타이어로 「금(Gold)」이라는 뜻이다. 멀리 터키어에서부터 퉁구스어, 브리야트어, 몽골어에 이르기까지 알트, 알튼, 알타이 등이 모두 알타이어족의 공통적인 의미로 금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신라 金氏族들은 일단 알타이 문화지역 출신이라는 심증은 충분하다.
 
 
  신라인의 이중 구조: 북방+남방族
  0309_562_3.jpg
신라 金씨의 조상인 김알지의 이름도 알타이 계통 사람이라는 암시로 여겨진다. 알지-알치-알티로 어원 추적이 가능하므로 김알지의 이름은 알타이 출신 金씨라는 뜻으로 Gold-Gold라는 뜻이 중복된 흥미 있는 이름이다.
 
그런데 김알지가 알타이 계통의 인물이라는 것은 그의 탄생설화가 얽혀 있는 곳이 鷄林(계림)으로 알타이적인 영웅탄생에 나무(神木)와 직결되어 있고, 그의 후손들의 무덤인 경주의 신라 왕족들의 積石木槨(적석목곽) 형식의 무덤들은 북방 기마민족들의 매장 전통을 극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김알지는 계림에서 발견된 상자 속에서 동자의 모습으로 발견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상자 속에서 동자로 태어난다는 것은 난생신화의 구조이다. 나무, 즉 神木에서 주인공이 태어난다는 내용은 분명히 기마민족인 알타이적 천손신화인데, 정작 태어나는 순간은 남방 농경민족의 난생신화의 주인공으로 분장되어 있다.
 
왜 그럴까?
 
기마민족이면 떳떳하게 기마민족식 (알타이 민족의 신화인 하느님의 자손으로 태어나는) 天孫신화의 주인공이라고 하지 못하고 왜 구차하게 농경인들의 난생신화의 주인공처럼 탄생하였다고 꾸며져 있을까? 여기에 초창기 신라의 통치계층 인구들의 말 못할 사정이 있었던 것 같다. 경주지방에는 선사시대부터 농경인 인구가 살고 있었다. 이는 경주 지역의 수많은 고인돌이 증명하고 있다. 그 후에 여러 차례에 걸쳐 소수의 기마민족이 이민 왔다.
 
신라인들은 삼국지 위지 東夷傳(동이전)에 기록되어 있는 辰韓(진한)족이다. 중국 서북쪽의 秦(진)나라에서 노역을 피하기 위하여 이민 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들은 소수였다. 다수의 토착 농경인들 위에 통치자로 군림하기에는 인구가 모자랐다. 하는 수 없이 여러 代(대)를 기다려야만 하였다. 드디어 미추왕(麻立干) 때 처음으로 金氏系 인물이 최고통치자로 등장할 수 있었다.
 
그때 소수의 기마민족 출신 金氏系 인물이 다수의 농경인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 농경인들처럼 난생신화의 주인공이라고 분장하지 않을 수 없었을지 모른다. 아마도 그런 이유로 궤짝 속에서 동자로 발견된 주인공이 북방계 토템인 신령스러운 나무, 즉 계림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꾸몄을 가능성이 짙다.
 
현대에 와서도 각종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후보자가 평소 믿지도 않던 불교의 부처님 點眼式(점안식)에도 참석하고, 한 번도 가 보지 않던 시장에 가서 아주머니들의 손을 붙잡는다. 2000년 전이나 지금이나 통치권으로 부상하려는 사람들이 별의별 변신방법을 다 동원하는 현상은 똑같다.
 
알타이 고분에서 미라로 발견된 동양계 여인의 盛裝한 모습에서 올린 머리에 장식된 순금제 새들이 있다. 이 새들도 주인공의 탄생과 죽음에 깊이 관여하였던 영혼의 새들로서 여주인공의 혼을 天上의 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이다. 신라의 천마총에서 발견된 금관의 이마 부분에 커다란 새의 날개 한 쌍(鳥翼形 裝飾)이 달려 있는 것과 똑같은 고대인의 영혼관이다.
 
 
南아시아적 생활+北아시아적 정신
 
0309_562_4.jpg얼마 전까지 나에게는 큰 근심이 있었다. 내가 대표로 되어 있는 유네스코 산하 국제박물관협의회(ICOM·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의 한국지부에서 세계총회를 서울로 유치하는 데 성공한 뒤였다. ICOM 총회는 3년에 한 번씩 개최되며 한 번은 박물관 문화가 일찍 발달한 유럽에서 다음 한 번은 非유럽 국가에서 개최해 왔다.
 
ICOM의 회원국은 145개국이고 등록회원수가 평균 1만7000명이다. 총회에 참석하는 인원은 평균 2000~2500명으로 주최도시가 얼마나 문화적 흡인력이 있느냐가 최대의 관건이고, 주최 측이 얼마나 조직적으로 홍보하느냐에 따라 참가인원이 크게 달라진다. 2004년의 서울 대회는 ICOM 100여 년의 역사상 아시아에서 처음 열리는 행사인 만큼 세계의 수많은 박물관 전문가들이 지대한 관심을 표해 오고 있어서 어느 대회보다 큰 규모의 행사가 될 전망이다.
 
그런데 세계대회를 하려면 본부 집행위원회가 인정하는 로고를 디자인하여 승인을 얻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 준비위원들은 지난 몇 달 동안 고민을 하였다. 아시아에서 처음 하는 행사이니까 로고의 내용을 아시아인 공통의 상징으로 할까, 아니면 서울市에서 개최하니까 서울의 상징인 북한산, 청와대, 남대문에서 로고를 딸까. 또는 이번 대회의 주제가 무형문화재이니까 탈춤이나 사물놀이를 내용으로 하느냐를 놓고 갑론을박하였다. 사람마다 주장이 그럴듯하고 어느 아이디어 하나 버릴 것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위에 열거된 상징들은 이미 다른 행사에서도 한두 번 이상 사용되었음직한 것들이라는 공통성이 있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은 명언이다. 한국 토착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문화유산으로는 농경문화의 상징으로 고인돌이 있고, 北아시아인들의 敬天(경천)사상을 상징하는 솟대(Totem Pole)가 있다. 한국에 수만 개나 남아 있는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중에 나타난 南아시아 지역의 벼농사 기술자들 사회의 매장풍속이다. 반면에 솟대는 알타이, 야쿠티아, 바이칼, 몽골 지역 사람들의 神鳥思想(신조사상)이 그 뿌리이다.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한국인의 경제방식은 南아시아적인 농경생활이었다. 그러나 정신세계는 北아시아적인 敬天사상이 지배해 왔다.
 
솟대 위에 앉은 새는 지상의 인간들이 하늘에 계신 절대자를 향하여 祈福(기복) 행위를 할 때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媒介者(매개자)이다. 그래서 端午祭(단오제) 때 솟대를 세우고 솟대 위에 새를 깎아 앉힌다. 새가 인간의 소원을 하늘에 전해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神鳥사상이 퍼져 있는 알타이 문화권 전역에서 고루 발견된다. 카자흐족, 퉁구스족, 위구르족, 브리야트족, 몽골족, 한국, 일본의 민속이나 역사에서 위대한 인물의 탄생과 죽음에는 반드시 새가 등장한다.
 
 
솟대를 로고로 채택한 까닭
 
중국 고전 山海經(산해경)에 기록된 少昊國(소호국)에서는 모든 공경대부가 새(鳥)일 만큼 새들은 東아시아의 신화 속에서 중요한 주인공들이다.
 
신라 金氏 왕들의 조상인 김알지가 계림에서 발견되었을 때 온갖 새들이 노래하였다고 하며, 고구려 고분벽화의 태양 속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三足烏)가 있음은 너무도 유명하다.
 
일본 古墳時代(고분시대)의 벽화에는 死者(사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작은 배(船)의 항해사로 새들이 앉아 있다. 나라(奈良)의 후지노키 고분에서 발견된 금동관에는 십여 마리의 새들이 앉아 있다. 일본 神祠(신사)의 입구를 지키는 도리(鳥居: 門)도 새들이 앉는 곳이다.
 
이 모두가 알타이 문화권의 오랜 전통으로부터 현대 민속으로 계속되고 있는 솟대의 원형들이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神鳥사상은 뿌리가 깊은 것이고 동북아시아 전체에 흐르고 있는 문화의 맥이다.
 
한국적인 것이 틀림없지만 중앙아시아에서 동북아시아로 도도히 흐르는 문화의 저류를 민속행사에 등장하는 솟대를 통하여 실감한다. 이처럼 새는 한국인의 마음속에 오랫동안 터를 잡고 있는 중요한 토템이자 東아시아 여러 민족의 공통적 토템이기에 아시아에서 처음 개최되는 세계 박물관 총회에 로고로 사용해도 격조에 맞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우리의 로고는 단오제의 솟대를 기초로 하여 도안되었다.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날아오르기 직전의 흰색 오리 두 마리가 앞뒤로 앉아 있는 모습이 탄생하였다. 최선호 화백의 작품이다.
 
알타이산 북쪽은 고원지대로서 예니세이江의 발원지이다. 옛날부터 유목민들이 양(羊)을 기르며 평화롭게 살고 있는 땅인데 철기문명이 확산되면서 여러 민족이 드나들게 되었다. 지금 이 지역의 주민들은 러시아의 영향으로 백인들과 황인종이 섞여 있지만, 옛날에는 아시아계 몽골족 들이 이 땅의 주인이었다.
 
 
알타이 기사의 부적-曲玉의 의미
 
0309_562_5.jpg그 증거는 그림으로 남아 있다. 루덴코라는 학자가 이 지역의 파지리크라는 곳에서 2500년 전에 만들어진 고분들을 발굴하여 엄청난 양의 유물을 발굴하였다. 이 보고서는 1953년 러시아어로 출판되었고 1970년에야 영어로 번역되었다.
 
필자가 이 고분들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그것들이 모두 적석목곽묘이었기 때문이다. 신라 왕족들의 무덤보다 시간적으로는 약 900년 가량 빠른 것들이지만, 어쩌면 그렇게 구조가 같은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즉, 통나무집에 사람과 유물이 들어 있고 그 위에 막돌을 두껍게 덮어 놓은 형식이다.
 
어느 민족이든 고분 구조는 매우 보수적이어서 좀처럼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고분의 구조가 비슷하다는 것은 주인공들이 생전에 유사한 사유세계를 갖고 있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어쩌면 종족적인 관계가 있었을 가능성도 암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신라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신라인과 파지리크人과의 관계에 대하여 매우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다. 파지리크 5호 고분에서 나온 물건 중 통나무집 벽에 걸어 놓았던 모직 담요 펠트(Felt)가 있다. 수놓아 그린 그림에 두 사람이 보인다. 왼쪽 사람은 의자에 앉았는데, 동양인 얼굴에 머리를 박박 깎은 모습이고 푸른색 두루마기를 입고 있다.
 
발굴자는 이 사람을 여성으로 보고 있다. 머리에는 가죽 같은 재질로 만든 관을 쓰고 있다. 왼손에 구불구불한 가지가 많이 달린 지팡이를 들고 있어서 직업은 샤먼(巫師)이라고 해석되었다.
 
오른쪽 사람은 말 위에 앉은 남자 기사인데 튜닉형의 半두루마기를 입고 곱슬머리에 콧수염을 감아 올린 아랍인 型이다. 목 뒤로 날리는 스카프로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말은 다리가 긴 아라비아 계통의 말로서 옛날 漢(한) 武帝(무제)가 흉노를 격퇴하기 위해 간절하게 원했던 汗血馬(한혈마)이다.
 
0309_562_6.jpg두 사람 중에 샤먼은 크게 그렸고 기사는 상대적으로 작은 비례로 그려져 있다. 고대 그림 기법으로 지체가 높은 사람은 크게, 낮은 사람은 작게 그려진 것을 감안하면 동양계 여인이 그 사회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던 주인공임을 알 수 있고, 아랍인 기사는 아마도 멀리서 온 방문객이거나 용병쯤으로 해석된다.
 
내가 이 그림에서 눈여겨본 부분은 말에 달려 있는 曲玉(곡옥)이었다. 곡옥은 굽은 옥으로 커다란 머리와 가는 꼬리로 구성되고 머리 부분에 구멍이 뚫려 끈을 꿰어 매달 수 있는 장신구이다. 대부분 푸른 玉 제품이고 때로는 金製 또는 石製도 있다. 신라 왕족의 금관, 목걸이, 허리띠에 여러 개 달려 있어서 신라미술품 연구에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물건이다.
 
신라 왕족들이 왜 曲玉 장식을 좋아했는지, 왜 曲玉이 동물의 태아 때 모양을 하고 있는지, 사람마다 제각기 의견들을 제시하였다. 어떤 이는 맹수의 발톱 모양이니까 유능한 사냥꾼의 장식이라고 그럴듯한 해석을 하였고, 또 다른 이는 초승달 모양이므로 月神(월신)사상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철학적 해석을 시도한 적도 있다. 어느 의견도 1970년에 나온 S. 루덴코의 파지리크 보고서를 보지 못하고 내린 추측들이었다.
 
한국고대사에서 曲玉은 신라, 가야에서만 유행하였다. 고구려, 백제에서는 인기가 없는 디자인이었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曲玉의 의미를 연구할 가치가 충분한데, 한국 문화의 영향권 안에 있던 일본 이외의 외국에서는 발견된 예가 없었으므로 비교연구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추측성 의견들만 난무하였었다.
 
파지리크의 曲玉은 기사가 탄 말의 가슴에 한 개, 콧잔등에 한 개가 선명하게 그려져 있었다. 보고서의 그림으로는 그 색깔이 코발트색으로 그려져 있었지만 지금은 상트 페테르부르크로 이름이 바뀐 레닌그라드의 에르미타지(Hermitage) 박물관에서 내가 본 실물은 신라의 曲玉과 같은 색인 초록색에 가까웠다.
 
 
신라와 그리스는 馬로 연결
 
0309_562_7.jpg曲玉의 의미는 지루한 추적 끝에 生命(생명)의 상징이라고 결론이 났다. 그리스에서는 이런 모양의 장식을 가지(Egg Plant)라고 부르고, 씨(種)를 잘 퍼뜨리는 열매로 규정하고 있다. 신라에서 왕으로 등장한 사람의 친부모의 금관에서만 曲玉이 달려 있는 현상도 曲玉의 의미가 多産(다산)과 관계 있는 것으로 쉽게 이해된다.
 
매우 흥미로운 사실은 곡옥으로 장식한 말을 타고 있는 남자가 파지리크가 있는 알타이 지역의 원주민인 몽골로이드(Mongoloid)가 아닌 이란-아랍계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2500년 전 알타이 지역을 방문한 아랍계 기사는 누구인가? 혹시 黑海(흑해)지역에서 맹주 노릇을 하던 기마민족인 스키타이족은 아닐까.
 
그리스와 교역하며 화려한 그리스 문화에 눈이 부셔 엄청난 생필품을 주고 그리스의 금·은·옥 제품을 다량으로 구입하던 바로 그 사람들 중 한 사람인지도 모른다. 후에 그리스 역사가인 헤로도투스가 만난 용맹하고 민첩한 스키타이족이었다면 그 사람의 말에 장신구로 달려 있는 曲玉은 그리스에서 처음 디자인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고 보니 신라 유물 중에 동물 뿔 모양의 술잔인 角盃(각배)도 그리스, 스키타이, 알타이 지역에서 고루 발견되고 경주에서 발견된 기와에 그려진 날개 달린 天馬(천마)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페가수스(Pegasus)라고 해석해야 될 판이다. 그렇다면 신라인과 그리스인은 비록 時空을 달리하였지만 스키타이-알타이를 통한 말의 문화로 단단히 연결되었던 것 같다.
 
이쯤 되면 나도 머리가 복잡해진다. 도대체 고고학이라는 학문은 고금의 동서양을 떠도는 이상한 구름에서 문득문득 내리는 비와 무지개를 찾는 작업인 듯하여서이다.
 
에르미타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그림의 주인공인 기사여, 그대는 왜 푸른 곡옥으로 장식한 말을 타고 오셨는가? 파지리크에 왔더니 그곳 샤먼이 선물로 알타이 원산의 옥으로 깎은 曲玉을 부적 삼아 선물로 준 것인가?
 
 
이시크의 적석목곽묘에서 발견된 女戰士
 
0309_562_8.jpg카자흐스탄의 옛 수도인 알마티 동쪽으로 중국과의 국경지대에 이시크(Issyk) 호수가 있다. 중국의 天山山脈(천산산맥)의 한 자락이 남북으로 달리는 끝자락에 스키타이 마지막 시기의 고분군이 있다. 이 지역은 고도가 높아서 나무가 자라지 못하고 만년설이 녹은 물이 흘러내려 이시크澔로 들어간다. 스키타이 왕족들은 아무도 접근할 수 없는 땅에다 조상을 모셨다.
 
이시크는 알타이 남쪽 天山산맥의 서쪽 끝자락에 있다. 현재는 카자흐스탄의 영역이고, 옛날에 스키타이족의 마지막 활동 무대이다.
 
스키타이 문화는 BC 8세기부터 BC 3세기 사이에 꽃피웠는데 이시크 시기는 BC 3세기에 해당된다. 알타이산의 북쪽 고원인 파지리크 문화보다 약 3세기 늦은 시기이다. 이시크에는 수백 개의 크고 작은 쿠르간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 몇 개를 러시아系 카자흐인 고고학자 아키세브 교수가 발굴하였다.
 
유물로는 순금 장식으로 덮은 갑옷을 입은 청년 戰士(전사)가 발견되어 「황금인간」이란 별명이 생겼다. 이 황금인간은 최근 프랑스 과학자들에 의하여 17세 전후의 여성으로 판명되어 또 한 번의 충격을 주었다. 남성 중심의 기마민족 사회에서 최고 통치자급의 의상과 유물을 갖고 있던 사람이 여성이라면 이 여성의 생전의 직업은 무엇이었을까. 실로 많은 연구과제를 던지고 있는 인물이다.
 
알타이 지방의 여러 곳을 탐사하던 중 알아낸 귀중한 한마디 말이 바로 「사랑」이란 단어의 뜻이다 한국 문학의 영원한 주제이자 모든 유행가 노랫말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사랑이라는 말의 뜻은 의외에도 알타이 언어 속 깊은 곳에 감추어져 있었다. 알타이로 가는 길은 험난하기로 세계적인 악명을 날리고 있다. 몽골 루트, 시베리아 루트, 중국 루트가 있는데 필자는 몽골·시베리아 루트는 과거에 탐사하였고 마지막으로 중국 루트를 탐사하게 되었다.
 
1996년 여름, 모험심에 가득 찬 소년들처럼 동문 임상현, 김두영, 김명용 제씨가 필자와 함께 항공편으로 실크로드(비단길)의 오아시스인 신강 위구르족 자치구의 수도 우루무치에 도착하였다. 전세 낸 9인승 마이크로 버스에 몸을 싣고 북쪽으로 800km나 펼쳐진 중가리아 사막을 17시간이나 걸려 건너갔다
 
알타이는 산의 이름이다. 알타이산에서 동쪽으로 내달리는 산맥 이름이 알타이 산맥이고, 그 북쪽의 고원지대가 알타이 지방이다. 알타이라는 말은 금(Gold)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알타이 산맥 중에 해발 4974m의 만년설을 머리에 쓴 友誼峰(우의봉·중국식 이름) 밑에 마을이 있었다. 하늘 아래 첫 번째 마을이었는데, 이름도 아르타이(阿勒泰)이다. 그곳에서 알타이어를 사용하며 살고 있는 유목민 카자흐족 마을에서 인류학 조사를 하던 중 듣게 된 이야기가 바로 사랑 이야기이다.
 
유목민들에게는 귀한 손님에게 부인을 하룻밤 빌려 주는 풍습이 있다. 먼 곳에서 손님이 찾아오면 주인 남자는 부인을 텐트 속에 남겨 둔 채 집을 나가는 풍습이다. 인류학 용어로 貸妻婚(대처혼)이다. 어느 날 카자흐족 마을에 중국인 畵家(화가) 한 사람이 오게 되었다. 그 마을의 絶景(절경)인 깊은 계곡을 화폭에 담기 위해서였다.
 
  0309_562_9.jpg
 
밤이 되자 카자흐족 남편은 손님 대접을 잘 하려는 풍습대로 텐트 속에 손님과 자기 부인을 남겨 둔 채 집을 나갔다. 남겨진 두 남녀는 좁은 텐트 속에서 밤을 지내게 되었다. 두 남녀의 잠자리 사이에는 베개를 하나 놓아 도덕적인 경계를 삼았다. 아무도 그 경계를 침범하지 않은 채 며칠이 흘렀다.
 
하루는 벼랑 앞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손님에게 여인이 間食(간식)인 양젖을 가져왔다. 그때 마침 바람이 불어 여인이 쓰고 있던 실크 스카프가 그만 바람에 날려 깊은 벼랑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다. 유목민에게 실크는 비싼 보석을 주고 중국에서 수입한 귀중품이다. 실크로드라는 경제용어가 있으니 알 만한 일이다.
 
아악! 여인의 비명 소리에 사정을 알게 된 남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수십 길의 벼랑을 기어 내려가 스카프를 주워다 여인에게 주었다. 그 순간 여인이 기이한 소리로 절규하는 게 아닌가.
 
『싸랑! 싸랑!』 소리를 지르며 손에 쥐어 준 스카프를 다시 골짜기 밑으로 내동댕이치는 것이었다.
 
 
싸랑-무정한 바보

0309_563_1.jpg싸랑. 그 의미는 「무정한 바보」라고 한다. 손님은 자기에게 싸랑이라고 소리친 카자흐 여인의 속마음을 알게 되었을까.
 
우리 탐사 단원들에게 이 이야기를 해준 현지 안내인의 설명이 걸작이었다. 한 뼘 높이의 베개도 못 넘는 남자가 어떻게 수십 길 아래의 벼랑 밑까지 내려갔다가 기어서 올라올 수 있느냐는 의미의 바보라고 하였다.
 
그날 저녁, 기마민족의 동질성을 확인이라도 하려는 듯이 40代의 카자흐 族長(족장) 아들과 한국인 탐사대원들은 양젖과 馬腸(마창: 말 순대)을 안주 삼아 경쟁적으로 독주를 마시고 대취하였다.
 
오래 전에 헤어진 알타이족들끼리의 혈연을 확인하고 기뻐하는 듯이 경쟁적으로 산타이주(三臺酒)를 여러 병 비웠다. 수 만 리 먼 곳에서 찾아온 우리들에게 꼭 하룻밤만 지내고 가라는 카자흐인의 간곡한 청을 들어 줄 수 없었던 게 못내 아쉬웠다. 떠나오는 우리 등에다 대고 카자흐인들의 합창 소리가 들리는 듯하였다.
 
싸랑! 싸랑!
金秉模/한국 전통문화학교 총장
월간조선 2003년 09월
 
金 秉 模1940년 서울 출생. 서울大 고고인류학과 졸업. 이탈리아 국제문화재연구소 및 영국 런던고고학연구소 수학. 영국 옥스퍼드大 철학 박사. 한양大 문화인류학과 교수. 안면도 고남리 패총, 二聖山城 발굴작업 주관. 1993~1995년 한국 고고학회 회장. 現 한국 전통문화학교 총장.
 

http://online4kim.net/xe/index.php?mid=bbs_pub&order_type=desc&page=54&sort_index=regdate&comment_srl=17989&document_srl=798

일본인의 주장 - 로마문화 왕국 신라



요시미즈 츠네오(由水常雄·66)라는 일본 제1의 유리 공예가가 쓴 「로마 문화 왕국 - 新羅」(新潮社)란 책은 317쪽 분량의 원색 사진이 많은데 띠에 써놓은 선전문이 이러하다.

「古代史가 바뀐다! 東아시아에 누구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던 로마 문화 왕국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것이 新羅다! 출토유물과 新발견의 고대 기록사료 등, 實在자료에 의하여 신라의 수수께끼를 해명한다」

imagesCAJKDM0S.jpg이 책에서 주로 인용하고 있는 자료는 1973년과 이듬해 경주에서 발굴한 天馬塚(천마총·발굴 당시는 155호 고분)과 皇南大塚(황남대총·발굴 당시는 98호 雙墳) 출토 유물이었다. 著者 요시미즈씨는, 신라가 중국으로부터 한자, 불교 등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6세기 전까지는 북방 草原의 길을 통하여 중앙아시아 및 중동, 그리고 흑해·지중해 연안의 로마 식민지와 물적·인적 교류가 왕성했고 이런 흐름을 타고 로마의 문화(유리 공예품, 황금칼, 장신구 등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것들까지)가 신라에 들어왔다는 대담한 주장을 했다.

고구려, 백제는 중국 문물을 순순히 받아들였지만 유독 신라만은 6세기중반까지 중국의 선진문물을 의도적으로 외면했다. 신라는 草原의 길을 통하여 서쪽 세계와 교류하고 있었고 이 길을 통하여 중국에 못지 않은 先進 문물을 수입하였으므로 굳이 중국에 기댈 이유가 없었다는 것이다. 로마 문화를 수입하고 있던 新羅의 입장에서는 중국의 문물이 先進으로 보이지 않았다는 뜻이다.

신라는 6세기까지는 동양문명의 중심지인 중국과 거의 담을 쌓고 살았다. 백제, 고구려가 거의 매년 중국의 여러 나라와 사신을 보내어 교류한 것과는 선명한 대조이다. [로마문화왕국 신라의 저자 요시미즈씨는 이 점을 집중적으로 캐고들어간다. 신라는 동양에서 역사적 상식을 뒤엎은 나라라는 것이다. 한반도의 구석에 있는 조그마한 나라가 무슨 배짱으로써 아시아 문명의 거대한 光源인 중국을 무시하고 수백년을 버티었는가이다.

요시미즈씨는 한국과 중국측의 史料를 검토하여 辰韓(신라의 모태. 지금의 경상도 지방 부족국가)시대에 중국의 西晉에 조공한 서기 286년 이후 91년간 공백, 前秦에 조공한 382년 후 126년간 공백, 北魏에 사신을 파견한 521년 이후 43년간 국교 공백의 상태였음을 적시하면서 이것은 미스터리라고 규정했다. 그 미스터리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신라가 북방 草原 루트를 통해서 로마세계와 교류하면서 선진문물을 받아들인 것을 확인했으며 신라 지배층의 행태에서 흉노적인 것, 유목기마민족적인 것을 많이 발견했다는 것이다.

<신라는 이웃 백제, 고구려가 중국의 정치, 경제제도를 도입하고 중국문화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여도 이에 동조할 필요가 없었을 정도로, 자국의 정치제도나 경제시스템, 또는 문화 전반에 걸쳐서 자신을 갖고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고도의 내용을 갖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고분의 출토유물을 분석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우리 고고학자들이 스키타이-흉노 草原 문화의 결정체라고 보는 신라금관이 기본적으로는 그리스-로마계통의 왕관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신라 적석목곽분에서 나오는 수많은 금팔찌, 금귀걸이, 보금, 유리공예품 등을 분석하여 로마에서 온 것이든지, 로마적인 것이 중앙아시아-초원 루트를 통해서 신라에 들어온 로마문화 원류의 유물이란 의견을 내어놓았다.

그는 4-6세기 신라는 북방 초원루트를 통해서 서방 로마세계와 교류했고 이는 신라 지도부가 이 문화 루트를 잘 아는 흉노족이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고 있다. 서방으로 통하는 창을 열어놓고 있었던 신라는 6세기 중반부터 중국으로 방향을 튼다.

신라의 이런 입장변화는, 5세기에 게르만족이 이탈리아를 침입하여 西로마 제국이 멸망하고(476년), 유럽·아시아에 걸쳐 있었던 로마 식민지가 황폐됨으로써 문화 교류의 상대방이 사라진 때라고 이 책은 주장했습니다. 그 이후 신라는 중국에 朝貢하면서 중국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著者는 이 책의 끝을 이렇게 마무리짓고 있다.

「그 후 신라는 지금까지 알려진 대로 唐과의 교류를 밀접히 함으로써 약소국이면서도 곧 백제를 멸망시키고, 고구려도 멸망시킨 뒤 한반도를 통일하였다. 소국 신라가 지녔던 이러한 반도통일의 에너지는 과거 로마 문화의 수용 시대에 쌓아 올렸던, 중국 문화와는 다른 에너지의 잠재적 축적이 있었기 때문에 비로소 반도 통일의 큰 원동력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著者가 신라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74년 미추왕릉 지구 발굴 때 출토된 코발트 블루의 작은 玉구슬 속에 남녀의 얼굴이 상감되어 있고, 그 주변을 새들이 날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는 이야기를 영남대학교 李殷昌씨로부터 전해 들은 이후였다고 한다.
흥분한 요시미즈씨는 경주박물관으로 달려가 그 玉구슬과 對面했다. 그는 『이것이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 하나밖에 없는 肖像玉이다』고 단정했다고 한다. 네 인물이 새겨져 있었는데 두 사람은 寶冠을 쓴 왕과 왕비. 눈썹이 옆으로 붙어 있고(連眉) 콧날이 날카롭고 오뚝했으며 피부는 흰 서양 사람이었다. 요시미즈씨는 『옥구슬의 디자인, 제작방법, 상감된 인물 등으로 추정할 때 틀림없이 로마 세계에서 만들어진 구슬이다』고 단정했니다. 그렇다면 왜 이 구슬이 아시아 대륙의 끝머리에 붙은 신라에 와 있단 말인가.

「신라 왕과 異國의 왕·왕비 사이엔 어떤 관계가 숨어 있는 것일까. 이 玉구슬 속에는 뭔가 측량할 수 없는 거대한 국제적 전개와 고대 신라 사회가 지니고 있었던 특수한 문화 상황이 넘쳐날 정도로 들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까지 발굴된 수많은 신라의 王墓에서는 로만 글라스(로마 유리제품)를 비롯, 황금의 칼, 금가락지, 목걸이, 귀고리, 팔찌 등 裝身具나, 황금으로 만든 나뭇가지형 왕관, 자작나무로 만든 冠帽 및 말 배가리개(障泥·장니)가 나왔고, 무엇보다도 동양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積石木槨墳이 확인되는 등 중국 문화권에는 없었던 것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왜 고고학자나 역사학자들은 의문을 가지지 않았을까」

이렇게 되어 著者 요시미즈씨는 『과거 내가 품고 있었던, 삼국시대의 신라 문화가 종래의 통설과는 달리 백제나 고구려와는 완전히 다른 성격을 가진 것이었다는 인식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 사실을 확실히 밝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요시미즈씨는 신라의 독특한 문화 수용 실상을 밝혀내면 동양사, 고대 한국사, 고대 일본사, 고대 유라시아史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꿀 수 있을 것이란 생각까지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자신을 고대 신라로 안내한 문제의 玉구슬이 만들어진 곳을 세 군데로 좁혔다. 지금 루마니아인 다키아, 지금 불가리아인 트라키아 및 모헤시아國 . 이곳은 당시(서기 4~5세기)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다. 이 3國 중 어느 나라에서 보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 玉구슬은 무역품이 아니라 그곳의 王家에서 신라 王家로 선물한 것임은 분명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신라와 로마 세계는 일종의 國交까지 맺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요시미즈씨는 신라 고분에서 로마 문화 계통의 유물이 발견된다는 것은 물건만 교류한 것이 아니라 물건을 따라서 사람이 오고갔으며 로마의 정신문화도 묻어왔을 것이라는 점을 유독 강조하고 있다. 그 예로 든 것이 1973년에 경주 鷄林路 공사장에서 발굴된 황금 寶劍이다. 길이 약 30㎝ 되는 이 보검은 황금판에다가 여러 개의 보석을 박은 호화찬란한 것이었다.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드문 名品이다. 요시미즈씨는 이 보검의 계보를 추적하여 지금의 불가리아에 있었던 트라키아의 켈트族 왕이 주문 생산하여 신라 王家에 선물한 칼이라고 단정했다. 트라키아 왕이 이런 귀중품을 무역상에 맡겨 북방 초원을 통과시켜 신라에 전하도록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트라키아 왕의 사절이 직접 신라에 왔든지 신라 사신이 트라키아까지 가서 下賜받았든지 둘 중 하나란 것이다. 요시미즈씨는 트라키아 왕이 금세공 기술자를 신라로 보내면서 호위병으로서 흉노족을 썼을지도 모른다고 추리했다.

「로마 문화 왕국-신라」의 著者 요시미즈씨는 신라 통일의 원동력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인 것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암시를 던졌다. 로마 문화를 수입하여 본 경험 때문에 중국문화를 받아들일 때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지 않았고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였으며 여기서 나온 정신적 에너지가 對唐 결전을 통한 삼국통일로 이어졌다는 해석이다.

한 일본인을 흥분하게 만든 4-6세기 신라문화의 서방적 요소, 여기에 한민족의 源流가 갖는 국제성과 주체성의 뿌리가 있을지 모른다.


http://online4kim.net/xe/index.php?mid=bbs_pub&order_type=desc&page=50&sort_index=regdate&comment_srl=17989&document_srl=937

일본 왜의 중국어 발음이 바이유에(월족)의 유에(yue)이다?

taolee789 13.03.02. 18:20
I think so…

bc 2000 인도 강가(갠지즈)유역 드라비다인의 지배(dalit)
… o2a 유전자 = o2 + 드라비다인 부계 유전자
… o2* 유전자 … 1차 동남아시아 이주(mon-khumer?)

bc 1000 인도 강가유역 아리안의 지배(aryan)
… o2* 유전자의 동아시아(현재의 중국남부해안) 이주
… o2a 유전자 … 2차 동아시아 이주(thai-kadai?)

1. 드라비다계 텔루구(telugu) 언어에서 문디 (mundi) 는 bald-head(빡빡머리) 를 의미.(telugu dictionary 에서)
… 여진족의 변발 == 일본 야요이남성(무사)문화의 빡빡머리 == 반도에서의 mundi 의 호칭.... 공통점은 O2b & O2b1.
… 빡빡머리집단 == mundi 집단이거나 피지배집단.
 
 
taolee789 13.03.02. 17:47
2. 왜(倭) 의 중국식 발음 == /yue/ == 월(越, 넘다) 의 중국식 발음. == "야요이" 발음은 변형.
... 왜구의 의미: 월나라 출신의 도둑.

3. 반도남부 및 큐슈지역의 선주민이동과 난민유입.
3.0. 선주민집단은 C,D,N,O3 등등.
3.1. 오월전쟁후 난민..오나라 (O3 집단, 우임금의 후손), BC 400 년경
3.2. 초월전쟁후 난민..월나라 (O2* 집단), BC 200 년경
 
 
taolee789 13.03.02. 17:26
3.3. 가야(김해김씨, O2b) + 허황옥(mtdna-M-group) = O2b1 탄생, AD 30년경
… 허황옥 세력은 indo-aryan 집단에게 쿠데타 일으켜 실패한후 중국남부를 통해 반도로 이주한 집단.
… 반도남부(경남,전남)에 김해김씨와 dark-skin 여성의 분포가 집중된 이유가 설명됨.
… 가야의 주변지역(경남,전남,큐슈등) 정복활동.
… 지속적인 반도전역, 일본 중/서부지방으로의 확장정책.
… 2,000 년동안의 반도남부 수탈역사 시작.

3.4. 임진왜란,병자호란때 반도지배가 아닌 학살형태의 침략행태.
3.5. 조선강제합병시의 조선내부에서의 신분-지위고하를 떠나서 내부협조자 다수존재
(소위 친일집단, 강원도출신 자발적인 관동군부대)

i think
 
꼬꼬닥 13.03.02. 18:17
환영합니다. taolee789님^^
앞으로 많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쓰신 댓글중에 O2b1의 탄생이 AD 30년경이라고 하셨는데, 현재 O2b1의 분화시기는 BC 2000년경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taolee789 13.03.02. 19:48
꼬꼬닥님 반갑습니다.
O2b1의 분화시기를 BC 2,000 년이라고 하셨는데요. 조금 다르게 생각해 봤습니다.

O2* + 허황옥세력(mtdna-M group's 부계유전자) == o2b

허황옥의 부계유전자가 O2*에게 유전되었다면 bc 2,000 년이라는 값이 나올수 있지 않을까요.

고유의 O2*의 분화시기가 아니라,
허황옥의 부계의 분화시기가 측정값으로 나올수도 있지 않을지... 음.. 너무많이 생각했나..
 
taolee789 13.03.02. 20:01
혈액형 분포에서도 증명이 되는듯...

반도중부의 수치상 높은 분포의 혈액형B
반도남부의 높은 분포의 혈액형A

비교집단으로 (초재님이 쓰신 글중에)

인도 동북지역(브라마푸트라)에서 O3 집단(네팔-타망족, 인도-가로족등)은 혈액형B
인도 동부지역(오리사,벵갈등)에서 O2a 집단(인도-문다족)은 혈액형A 이고,

일본의 경우도 O2a가 집중분포하는 지역은 혈액형A, O3집단은 혈액형B 일듯 싶네요.
 
꼬꼬닥 13.03.02. 20:35
부계 하플로의 분화시기는 역사적 기록이나 논리적인 추정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부계 하플로를 가진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얼마나 유전적 변형이 생겼는지를 시기적으로 추정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오차범위가 있긴 하지만 o2b1a의 경우는 오차범위를 고려해도 5000년에서 4000년전에 분화되었다는 것이 분자인류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입니다.
 
taolee789 13.03.02. 21:08
o2b의 사돈은 누굴까요.

동거집단 드라비다계.............................o2a 유전자
동거집단 아리안계...............................o2a 유전자
동거집단 O3집단(남만,북적,동이,서융,화하,한족)..o2a 유전자
동거집단 백월계.................................o2a 유전자
동거집단 몽골계.................................비슷한 비교집단인 인도네시아 순다열도에는 o2b가 없음.
동거집단 코랴크계...............................동북지역에 거의없음, 일본에는 있음.(kobe's amagasaki's koryak)
 
taolee789 13.03.02. 21:08
동거집단 핀우그르계.............................o2b의 잠재성있음
동거집단 아이누계(혹은 티벳계)..................o2b의 잠재성있음
기타 동거집단 ??

또다른 단서들..
인도동부의 mtdna-M-group 의 부계유전자
동남아/중국남부 mtdna-B/F-group 의 부계유전자
중국북부/동북부 mtdna-C/D-group 의 부계유전자
 
garimtto 13.03.03. 02:50
읭 일본에 O2a가 많을런지요. 생각만큼 많지는 않을 거라 보는데, 굳이 혈액형하고 연관짓고 싶으시다면, 부계 하플로 D가 많은 집단에서 A형이 나올 확률은 높겠죠. 티벳이나 안다만제도도 A형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하니깐요-_-;; 그런데 따오리789님은 도대체 무엇을 주장하고픈지 모르겠군요.
 
기생충 13.03.03. 11:07
taolee789님, 가입을 축하드립니다.^^ O2a는 O2b와는 한 항렬(?)의 형제이긴 하지만, 분화시기나 분화장소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한국이나 일본에는 굉장히 드문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혈액형 등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o2b가 드라비디아계?

taolee789 13.03.02. 18:20
I think so…

bc 2000 인도 강가(갠지즈)유역 드라비다인의 지배(dalit)
… o2a 유전자 = o2 + 드라비다인 부계 유전자
… o2* 유전자 … 1차 동남아시아 이주(mon-khumer?)

bc 1000 인도 강가유역 아리안의 지배(aryan)
… o2* 유전자의 동아시아(현재의 중국남부해안) 이주
… o2a 유전자 … 2차 동아시아 이주(thai-kadai?)

1. 드라비다계 텔루구(telugu) 언어에서 문디 (mundi) 는 bald-head(빡빡머리) 를 의미.(telugu dictionary 에서)
… 여진족의 변발 == 일본 야요이남성(무사)문화의 빡빡머리 == 반도에서의 mundi 의 호칭.... 공통점은 O2b & O2b1.
… 빡빡머리집단 == mundi 집단이거나 피지배집단.
 
 
taolee789 13.03.02. 17:47
2. 왜(倭) 의 중국식 발음 == /yue/ == 월(越, 넘다) 의 중국식 발음. == "야요이" 발음은 변형.
... 왜구의 의미: 월나라 출신의 도둑.

3. 반도남부 및 큐슈지역의 선주민이동과 난민유입.
3.0. 선주민집단은 C,D,N,O3 등등.
3.1. 오월전쟁후 난민..오나라 (O3 집단, 우임금의 후손), BC 400 년경
3.2. 초월전쟁후 난민..월나라 (O2* 집단), BC 200 년경
 
 
taolee789 13.03.02. 17:26
3.3. 가야(김해김씨, O2b) + 허황옥(mtdna-M-group) = O2b1 탄생, AD 30년경
… 허황옥 세력은 indo-aryan 집단에게 쿠데타 일으켜 실패한후 중국남부를 통해 반도로 이주한 집단.
… 반도남부(경남,전남)에 김해김씨와 dark-skin 여성의 분포가 집중된 이유가 설명됨.
… 가야의 주변지역(경남,전남,큐슈등) 정복활동.
… 지속적인 반도전역, 일본 중/서부지방으로의 확장정책.
… 2,000 년동안의 반도남부 수탈역사 시작.

3.4. 임진왜란,병자호란때 반도지배가 아닌 학살형태의 침략행태.
3.5. 조선강제합병시의 조선내부에서의 신분-지위고하를 떠나서 내부협조자 다수존재
(소위 친일집단, 강원도출신 자발적인 관동군부대)

i think
 
꼬꼬닥 13.03.02. 18:17
환영합니다. taolee789님^^
앞으로 많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쓰신 댓글중에 O2b1의 탄생이 AD 30년경이라고 하셨는데, 현재 O2b1의 분화시기는 BC 2000년경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taolee789 13.03.02. 19:48
꼬꼬닥님 반갑습니다.
O2b1의 분화시기를 BC 2,000 년이라고 하셨는데요. 조금 다르게 생각해 봤습니다.

O2* + 허황옥세력(mtdna-M group's 부계유전자) == o2b

허황옥의 부계유전자가 O2*에게 유전되었다면 bc 2,000 년이라는 값이 나올수 있지 않을까요.

고유의 O2*의 분화시기가 아니라,
허황옥의 부계의 분화시기가 측정값으로 나올수도 있지 않을지... 음.. 너무많이 생각했나..
 
taolee789 13.03.02. 20:01
혈액형 분포에서도 증명이 되는듯...

반도중부의 수치상 높은 분포의 혈액형B
반도남부의 높은 분포의 혈액형A

비교집단으로 (초재님이 쓰신 글중에)

인도 동북지역(브라마푸트라)에서 O3 집단(네팔-타망족, 인도-가로족등)은 혈액형B
인도 동부지역(오리사,벵갈등)에서 O2a 집단(인도-문다족)은 혈액형A 이고,

일본의 경우도 O2a가 집중분포하는 지역은 혈액형A, O3집단은 혈액형B 일듯 싶네요.
 
꼬꼬닥 13.03.02. 20:35
부계 하플로의 분화시기는 역사적 기록이나 논리적인 추정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부계 하플로를 가진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얼마나 유전적 변형이 생겼는지를 시기적으로 추정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오차범위가 있긴 하지만 o2b1a의 경우는 오차범위를 고려해도 5000년에서 4000년전에 분화되었다는 것이 분자인류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입니다.
 
taolee789 13.03.02. 21:08
o2b의 사돈은 누굴까요.

동거집단 드라비다계.............................o2a 유전자
동거집단 아리안계...............................o2a 유전자
동거집단 O3집단(남만,북적,동이,서융,화하,한족)..o2a 유전자
동거집단 백월계.................................o2a 유전자
동거집단 몽골계.................................비슷한 비교집단인 인도네시아 순다열도에는 o2b가 없음.
동거집단 코랴크계...............................동북지역에 거의없음, 일본에는 있음.(kobe's amagasaki's koryak)
 
taolee789 13.03.02. 21:08
동거집단 핀우그르계.............................o2b의 잠재성있음
동거집단 아이누계(혹은 티벳계)..................o2b의 잠재성있음
기타 동거집단 ??

또다른 단서들..
인도동부의 mtdna-M-group 의 부계유전자
동남아/중국남부 mtdna-B/F-group 의 부계유전자
중국북부/동북부 mtdna-C/D-group 의 부계유전자
 
garimtto 13.03.03. 02:50
읭 일본에 O2a가 많을런지요. 생각만큼 많지는 않을 거라 보는데, 굳이 혈액형하고 연관짓고 싶으시다면, 부계 하플로 D가 많은 집단에서 A형이 나올 확률은 높겠죠. 티벳이나 안다만제도도 A형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하니깐요-_-;; 그런데 따오리789님은 도대체 무엇을 주장하고픈지 모르겠군요.
 
기생충 13.03.03. 11:07
taolee789님, 가입을 축하드립니다.^^ O2a는 O2b와는 한 항렬(?)의 형제이긴 하지만, 분화시기나 분화장소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한국이나 일본에는 굉장히 드문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혈액형 등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원형점토대토기의 연대는 그 상한이 송국리 유형보다 이를수는 없다.

한일

설명없음
제작 kim hyejung 날짜 2010년 12월 5일

 

한일의 스크립트

한일교섭과 고고학 06 김기문
08 김혜정
08 안경진 세형동검의 등장 이후 원삼국 시대까지의 호서와 호남서부의
시공간적 공백이 300년 동안 공백지대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음

→ 즉 현재 편년상의 문제로 인해 시간적 공백이 생겼다는 것.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요약> 편년을 조정해보자 원형점토대토기는 세형동검과 공반됨.

→ but 원형점토대토기 단일 생활유적이 발견되지 않음.
즉 송국리유형은 세형동검의 등장과 함께 기원전 300년경
일거소멸된 것이 아님. 1. 송국리유형의 하한
2. 타날문토기의 상한 원형점토대유적의 연대와 송국리유형연대는 상당 중복.

원형점토대토기의 연대는 그 상한이 송국리 유형보다
이를수는 없지만 공존기간은 비교적 오래 지속되었을 것. 송국리유형의 편년을 기원전 2세기중엽경으로 하향조정해야한다! 타날문 토기는
삼국시대의 특징을 뚜렷한 지역색으로 볼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삼국 시대의 현 편년안에서는 물질문화상의 지역적 편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 이것으로 인해 시간적 공백이 발생한 것으로 봄.
세형동검단계부터 세죽리-연화보와의
서해를 통한 교류가 있었음 ◎ 기존의 학설 - 타날문토기 등장 이전에 경질무문토기 단순기 존재

◎ 경질무문토기 단순기는 호서지방과 서부호남지역에서는 발견되고 있지 않음(김장석) 이때 이후로 청동기가 이 지역에서 급감.
→ 철기가 청동기를 대체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있음.

→ 철기의 본격적 전래시점을 분구묘의 등장과 같이 보
고 분구묘에서의 타날문토기 출현을 감안
(분구묘의 상한 기원전 2세기) 타날문토기의 상한을 기원전 2세기 후반대로 상향조정해야한다! 1. 두 논문의 요약

2. 비교
-공통점과 차이점

3. 고찰 2. 비교 - 공통점 ☞ 두 논문 모두 호서와 서부 호남지역의 초기
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한 주제임.

☞송국리유형의 하한을 하향조정 함으로써
초기철기시대 공백을 메우려는 시도를 함 2. 비교 - 차이점 송국리유형의 하한 세형동검의 등장
원형점토대토기와의 공존

기원전2세기 중엽으로 하한 기원전 1세기대가
중심연대인 유적에서도
송국리형토기 발견

기원전 1세기까지 하한 가능
↔ 타날문토기의 상한 낙랑설치 이전에 철기기술이 도입되어
철기의 본격적 보급시기가 빨라지며 이와 분구묘 등장시기를 같게 봄.

기원전 2세기후반까지 상한
세형동검의 현저한 감소가 철기나 타날문토기의 출현을 의미하지 않으며 기원전 1세기까지 올라가는 타날문토기는 없음.

기원전까지 올라가지 않음 ↔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한 반론’> 요약 1. 송국리유형의 하한
2. 철기,타날문토기의 출현과 실용화 * 기원전 1세기가 중심연대인 광주 신창동⦁운남동유적에서
송국리형토기와 삼각구연점토대토기 공반되어 출토.

* 무안 인평유적에서도 무문토기와 삼각구연점토대토기의 사용확인 송국리유형은 기원전 1세기까지 하향가능하다! 기원전 1세기까지도 송국리형토기가 잔존하였음을 알수있음 * 세형동검의 현저한 감소를 철기,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일치시키는 것은 지나친 비약.

* 초기의 전국계 철기는 수입품이지 자체생산은 아니었음.
→ 철기의 실용화가 바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타날문토기의 생산을 거론할 수 없음.

* 호서, 호남지역 어디에도 기원전 1세기에는 타날문토기가 나타나지 않을뿐더러 기원전 2세기까지 올라가는 타날문토기는 없음 타날문토기의 기원은 낙랑토기.

→호서지역과 낙랑군과의 교섭관계유물이 증가하는
시기는 기원후 2세기대. 호서⦁호남지역의 타날문토기는 기원후 1세기대에 나타남 타날문토기의 상한은 기원후 1세기대이다! 김장석의 주장 3. 고찰 감사합니다!!!!! ^*^ ① 김장석논문

기존의 편년안을 문제로 삼은 후 편년의 재조정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 전개방식을 취함 ②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보고한 후에, 김장석논문 중요부분을 인용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면서 전개함 전개구조상의 차이점 장점
김장석 논문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의
분포상의 차이점을 지도사용으로
이해를 도움 김장석논문

- '가설적인 것'이라고 계속 언급해
편년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짐.

- 현재자료에 충실하지 않고 예견하는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에 신뢰성이 떨어짐.

표를 사용했다면
이해와 비교가 쉬웠을 것. 단점 토기설명을 주관적으로 함.
→그림을 삽입함으로써 객관적으로 설명했어야함. 토기의 분포와 파급양상을 설명 →
지도를 사용하여더빠른 이해를 도와야함


https://prezi.com/kvsb7jgodlai/presentation/

para O2b1a(47z) 원형은 충청도와 전라도에 남아있다.



1. 12000년~10000년전에 O2*에서 분화된 O2b가 발해만연안이나 북중국에 정착. 8000년~6000년전경에 발해만연안에 발생한 요하문명에 일원이었으나, 다수의 N, C에 비해 소수세력이고, 피지배층으로 추정. 농경을 하고 가축을 사육했으며, 빗살무늬토기 사용. 이중 일부가 만주, 연해주, 한반도 동북부로 이동.

2. O2b1a가 분화되기 전인 6000년~4000년전경에 만주, 한반도, 제주도, 열도, 오키나와 등지로 다양한 계통의 O2b가 이동하여 정착함. 하지만 이들은 소수 점조직으로 이동, 주거하였고, 주로 해안가나, 큰 강가에서 약간의 농경과 어로, 수렵채집 생활을 했던 것으로 추정. 이들중 대부분은 현대에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도퇴되고, 제주도나 오키나와의 O2b*들은 주류 O2b(Korean star cluster)와 다른 초기 O2b(para O2b*)의 후손으로 추정됨.


 
 




3. 요하문명에서 발달된 농경기술과 청동기문화를 습득한 O2b* 그룹에서 4000년전쯤에 O2b1이 분화됨.
3000년전, 즉 기원전 1000년부터 민무늬토기인들이 기존의 빗살무늬토기인들을 제압하고 한반도에 세력 교체현상이 나타남. 이들의 주 세력이 para-O2b1로 추정됨.

이 O2b1a들이 초기에는 반도와 열도에 퍼지면서 기존의 고아시아인(N,Q,C1,D2)와 para O2b*들을 비파형 동검(요령성 동검)과 발달된 문명으로 제압하고 비교적 대규모로 취락을 형성하여 생존함.
전라 지역, 경기, 충청지역의 O2b1a들이 다른 한국과 일본지역의 O2b1a와 유전적 거리가 먼 것을 보아, 이들이 민무늬 토기 세력의 초기 유형으로 추정됨.
만주, 연해주, 함경도, 강원도쪽 루트를 타고 반도로 내려온 para-O2b1의 초기 정착지역이 한반도 남서부 지역으로 추정됨. 이들은 비교적 장시간 고립되어 정착한 것으로 보임.

4. 600년간 번영을 누리던 민무늬 토기세력인 para-O2b1들은 농경과 발달된 문화로 비교적 단시간에 많은 개체수를 늘려갔지만, 기원전 4세기에 강력한 점토대토기인들이 요하지방에서 해상으로 서울경기지역에 도착하여 다시 세력교체현상이 나타남.
이 점토대토기인들은 한국식 동검(세형동검)을 사용하던 강력한 무장집단. 말을 사용하고, 활쏘기에 능했으며, 이들의 이동원인은 연나라 장군, 진개의 고조선 침략으로 보임.
아주 짧은 시간안에 민무늬 세력은 제압당했고, 이들은 한반도 중남부를 평정한 뒤 바로 일본 북큐슈지방으로 건너가 요시노가리유적을 만듬. 한반도 중남부와 일본에 부분적으로 거주하던 para-O2b1들을 제압한 점토대토기인들의 주요 세력이 O2b*(Korean star cluster)와 O2b1a(대가야모달)로 추정됨.
강원도 O2b*와 강원도 O2b1a를 중심으로 모여있는 한국과 일본의 O2b*(Korean star cluster)와 O2b1a(대가야모달 혹은 텐노 모달)은 이 점토대토기인들로 추정됨. 이 점토대토기인들에는 O2b*(Korean star cluster)와 O2b1a(대가야모달 혹은 텐노 모달)과 O3, C3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주 세력은 O2b계열로 보임.


위 자료는 기생충님이 올려주신 오씨 집성촌에서 19명의 혈연집단의 12개 y-str수치를 측정한 표입니다. 향파 해주 오씨로 추정되는 이 집단은 백제인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최소 1000년에서 최대 2000년정도의 유전적 변이를 보여준다고 추정됩니다. dys439에서 2, dys 385b에서 1정도 변이가 일어났는데요, 이씨 집단이나 위씨 집단의 수치에서는 4~5까지도 변이가 일어납니다.



5. 한반도와 열도의 korean star cluster와 O2ba1(대가야모달)은 유전적 거리가 매우 가깝고 비교적 근래에 급속도로 개체수를 확장한 집단.
 비교적 근래에 이러한 대규모 세력교체현상과 맞춰보면 점토대토기인을  korean star cluster으로 상정하면 제주도와 오키나와를 제외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korean star cluster 확장에 대한 설명이 비교적 잘 맞아 떨어짐. 점토대토기인들의 확장이 2400년전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korean star cluster의 시조를 1세대로 치자면 변이가 일어나기 쉬운 DYS456, DYS389II, DYS385b, DYS439, DYS437에서 유전적 거리가 최대 7~8정도까지 일어날수 있다고 예상됨.


요약을 해보자면,

1. para O2b들은 BC 8000년~ BC 1000년까지 만주, 반도, 제주도, 열도, 오키나와로 퍼졌다. 하지만 제주도, 오키나와, 반도와 열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도퇴되어 생존하지 못했다.

2. para O2b1a(47z)들은 BC 2000년전부터 만주, 반도, 열도에 성공적으로 퍼졌고, para O2b에 비해 성공적으로 생존하였다. 그 원형은 전라도와 충청도에 남아있다.

3. 한반도와 열도에 친연성이 높은 O2b와 O2b1a들은 점토대토기인들이며 아주 성공적으로 생존하였다. O2b(korean star cluster)는 한국의 주류가 되었고, O2b1a(대가야 모달, 혹은 텐노 모달)은 일본의 주류가 되었다.

http://m.cafe.daum.net/molanthro/I4rp/296?q=D_ojDD_SeQ6qg0&

수면 중 뇌의 목욕 : 현명한 디자인 솔루션

Brian Thomas
    잠(sleep)을 자고 나면 정신이 맑아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로체스터 대학의 신경과학자 제프  일리프(Jeff Iliff)는 2014년 9월 TEDMED에 모인 청중들을 위한 연설에서 그의 놀라운 새로운 발견을 설명했다.[1] 그가 사용했던 단어들은 천재적인 설계자의 작품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단어들과 완벽하게 일치했다.[2]
뇌를 제외한 신체의 장기들은 세포에서 만들어진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포 밖에 구축되어 있는 림프계에 의존한다. 그러나 두개골 뒤로 림프관이 존재할 수 없다. 뇌는 신체 에너지의 1/4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뇌의 노폐물을 청소하기 위해 작동되어야만 하는 어떤 다른 메커니즘이 있어야만 한다. 일리프와 그의 동료들은 이 메커니즘을 발견하고, 2012년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지에 그의 발견을 게재했었다.[3] 그는 TED 강연에서, 그의 연구팀이 발견한 사실을 설계(design)와 관련된 단어들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었다.
일리프는 말했다. ”신체의 다른 모든 장기와 떨어져 있으며, 고도의 노폐물 처리 욕구와 좁은 여백을 가지고 있는 뇌에서, 독특한 방식인 수면(sleep)은 실제로 뇌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우아한 ‘디자인 솔루션(design solution)’일 수 있음을 우리는 발견했다.”[1]
수면 동안에 혈관을 따라 발견된 특별한 세포들은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을 뇌의 가장자리에서 뇌의 중심부로 펌프 한다. 액체가 세포들 사이의 작은 공간을 통하여 흘러나갈 수 있도록, 뇌의 신경세포(neurons)들은 수축한다. 그곳에서 대사 노폐물들은 수집되어 버려진다.  
일리프는 다시 말했다. ”당신이 이것에 대해서 생각해본다면, 이같이 혈관 밖으로 내보내는 메커니즘은 정말로 현명한 디자인 해결책이다. 왜냐하면, 뇌는 딱딱한 두개골 속에 포위되어 있고, 세포들로 가득 뭉쳐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림프계와 같은 관들이 내부에 있을 여분의 공간이 없다.”[1]
그는 뇌가 어떻게 자가 목욕(상상할 수 없는 한 복잡한 메커니즘)을 수행하는지를 기술하며, '우아한', '멋진', '해결책', '현명한 설계'와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었다.[1]
어떻게 이러한 경이로운 시스템이 만들어질 수 있었는가? 일리프에 의하면, 림프계는 진화했고, 다음으로 뇌 스스로가 '노폐물 청소 문제'를 어떻게든 해결하도록 진화했다는 것이다.[1]
뇌는 경이롭다. 하지만 컴퓨터가 자신의 새로운 하드웨어를 스스로 만들어낼 수 없는 것처럼, 뇌가 자신의 부품들을 스스로 만들어낼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은 하실 수 있다. 하나님은 엄청난 량의 정보뿐만 아니라, 뇌혈관을 따라서 필요한 작은 뇌척수액 펌프들을 장착시키시고, 우리에게 수면을 허락하셨던 것이다.

References
1. Iliff, J. One more reason to get a good night’s sleep. TED Talks. Filmed September 2014, accessed October 14, 2014.
2. 'For since the creation of the world His invisible attributes are clearly seen, being understood by the things that are made, even His eternal power and Godhead, so that they are without excuse” (Romans 1:20).
3. Iliff, J.J. et al. 2012. A Paravascular Pathway Facilitates CSF Flow Through the Brain Parenchyma and the Clearance of Interstitial Solutes, Including Amyloid β.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4 (147): 147ra111.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025&category=A00&orderby_1=editdate desc&page=1

Blog Archive